서울대학교가 온실가스 관리 대응책으로 시스템 냉난방기로 불리는 전기히트펌프(EHP) 도입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EHP가 전기요금과 운영 면에서 장점이 있지만 온실가스 감축 면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이미 도입한 EHP 시설의 향후 운영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는 향후 신축건물 EHP 냉난방 설비를 도입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9일 밝혔다. 기축 건물에 대해서도 지금의 가스 냉난방 방식을 유지하고 EHP가 설치된 건물에 대해서는 설비 교체를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박종근 서울대 교수는 “난방 방법을 바꾸지 않는 한 서울대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가 힘들다”며 “내부 위원회를 통해 EHP 설비에 대한 재검토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만 워낙 신규설비다 보니 결정이 쉽지는 않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의 이 같은 방침은 지난해 45개동에 EHP를 전격 도입했을 때와는 전혀 상반된 상황이다. 불과 1년 전에 저렴한 교육용 전기요금과 설치비·운영비를 이유로 EHP를 도입했지만 지금은 사용과 도입을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급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서울대가 건설·교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 대상에 포함되면서 당장 내년부터 예상배출량 대비 2.2% 온실가스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지침에 따라 고효율 인증제품을 우선 사용해야 하는 부분도 작용하고 있다. EHP는 지난 9월 고효율 인증대상 품목에서 제외됐다.
서울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각 동별로 전기 계량기를 별도 설치하는 등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정책을 시도하고 있지만 EHP 사용을 줄이지 않고서는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전기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서 온실가스 배출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에서다. 전기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단위는 테라줄로 단순 전환할 경우 1테라줄당 129톤으로 LNG의 56톤보다 두 배 이상 높다.
비용절감의 효자 노릇을 기대하며 설치한 EHP 설비는 이제 서울대의 주요 고민거리 중 하나로 전락했다. 내부적으로는 가스 냉방의 대원칙에 공감을 하지만 170억원을 들여 설치한 1년밖에 안된 신규설비를 교체하는 것도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이다.
<표>주요 에너지원별 온실가스 배출계수 (단위: 톤GHG/테라줄)
자료: 지식경제부
최호기자 snoop@etnews.com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