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정전대란 이후 신재생에너지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정부는 물론 지자체, 대기업까지 나서 태양광과 바이오에너지 등 관련 산업 육성에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인 연료전지 또한 대우가 각별하다.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서의 무한한 가능성 때문이다.
연료전지는 대기중의 산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다. 배터리와는 달리 연료가 공급되는 한 재충전 없이 계속해서 전기를 쓸 수 있어 관심이 클 수 밖에 없다.
국내에서는 포스코가 연료전지에 공을 들여왔다. 포스코는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10% 가까이를 공급하고 있는 대기업이다. 연료전지 부문에선 지난 2005년부터는 손을 댔다.
포스코의 대표적인 사업은 수십 억원의 사업비를 들인 조선대병원과 서울탄천하수처리장, 남동발전소 등 3곳에 설치한 ‘MCFC형’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이다. 당시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대대적인 홍보도 했다.
하지만 설치 7년이 지난 지금, 이 시스템은 무용지물로 변했다. 실제 2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조선대병원 연료전지 시스템은 쓰레기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사후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가동 1년여 만에 잦은 고장과 연료비 문제 등으로 운영난을 겪다 결국 손을 놔버렸다. 한전에서 들여오는 전기 비용 대비 자가발전의 경제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이유도 한몫했다.
수십억원의 투입된 장비와 시스템은 현재 녹이 슬었다. 일부 시설은 거미줄로 뒤덮여 있다. 예산낭비는 물론 엄청난 사회적 손실이 아닐 수 없다.
포스코는 조선대에 설치된 ‘MCFC형 연료전지’보급에는 아예 손을 놨다. 차세대 버전인 ‘SOFC형 연료전지’의 조기상용화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 설치된 연료전지 시설은 이미 골칫덩어리가 됐다. 버리자니 욕먹을 것 같고, 그렇다고 고장 잘나고 효율 떨어지는 시스템을 매년 유지보수해 운영하자니 적자 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해법은 사업주체인 포스코와 조선대가 내야한다. 머리를 맞대고 양자가 답을 고민해야 한다. 정부의 지원으로 ‘돈’을 벌었다면 그 이후에 대한 책임도 따르기 마련이다. 왜냐면 정부 사업에는 사후관리 비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