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에 상장하는 새내기주가 뜸해졌다. 해외 기업 상장은 전면 휴업 상태다.
이처럼 기업공개(IPO) 시장이 얼어 붙은 데는 최근 불거진 선진국 경기 불안에 따른 우려감 때문이다. 하지만 해외기업 IPO는 최근 주가 부진보다 6개월째 거래가 정지된 중국고섬 사태에 따른 파장이 주된 요인이다. 한 증권사 IPO 담당자는 “중국고섬 사태 이후로 해외 기업을 유치할 팀이 국내 전담으로 돌아선지 상당 기간 됐다”고 전했다. 요즘에는 아예 IPO 문의기업도 없고 중국 활동도 전면 휴업상태다.
중국 고섬은 지난 1월 25일 상장한 후 3개월이 채 안된 22일 거래가 정지됐다. 이유는 사업보고서 미제출이다. 중국고섬은 이후로도 네 차례 주주총회를 연기하며 사업보고서 제출을 미루고 있다. 6개월째 거래를 못하고 있는 투자자로서는 답답하기 그지없는 노릇이다.
한국거래소 역시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싱가포르 증시에 원주가 상장된 중국고섬의 주총연기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다는 게 거래소측 설명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중국고섬 사례가 ‘차이나디스카운트’는 물론 해외 기업 상장 유치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때 아시아 금융시장 허브를 꿈꾸며 외국기업 100개 유치를 목표로 내건 한국거래소나 이를 위해 앞장섰던 증권사로선 꿈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중국고섬 사태는 옥석을 구분하는 제도를 제대로 갖추지 않고 목표에만 집착해 만들어낸 산물이다. 국내에 상장했으면서도 싱가포르 증시규정에 따르는 중국고섬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원인이다. 실사 한번 제대로 않고 상장을 주선한 증권사도 문제다. 그렇다고 범위를 축소해 국내 기업만으로 시장을 운영하는 것은 국내 금융시장을 ‘`우물안 개구리’`로 만드는 패착이다. 위기를 뒤집어야 기회가 온다.
외국기업 국내 상장은 우리 금융시장이 훗날 아시아 금융시장 허브가 되기 위한 초석이다. 지금이라도 금융당국과 거래소가 외국기업 상장에 대해 적절한 투자자 보호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