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사태] 분산형 전원 필요성 고조

Photo Image
사상 초유의 정전사태로 인해 분산형 전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엔지니어들이 국내 최초로 설치한 수소연료전지를 점검하고 있다.

 갑작스러운 정전이 발생한 지난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건물 지하에서는 자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가 가동됐다. 에너지를 잡아먹는 하마로만 알려져 있는 대형건물에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해 반대로 계통에 전력을 공급한 셈이다.

 신윤균 코엑스 서비스지원본부장은 “전기요금이 비싼 여름철에 피크 컷을 목적으로 발전기를 가동하고 있다”며 “전체 전력 계통에 비하면 큰 규모는 아니지만 전력 공급이 중단돼도 자체적으로 주요 시설은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정전사태로 인해 전력 공급 안정성 문제가 또다시 도마에 오르면서 국지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분산형 전원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분산형전원은 원자력·화력발전 등 기존 대규모의 기저 발전원인 아닌 소용량 발전시스템을 일컫는다. 태양광·바이오·풍력·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원을 포함해 소용량 가스·디젤 발전기 등이 대표적인 예다.

 분산형 전원이 전력난 해소의 대안으로 손꼽히는 이유는 지산지소(地産地消)가 가능하다는데 있다.

 전력 생산·소비 주체가 같기 때문에 전력이 풍부할 때는 이를 중앙 배전망에 판매하고 전력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를 바로 소비할 수 있다. 때문에 전력 수요가 집중될 경우 전력 피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원전이나 화력발전소 등 대규모 전원에 들어가는 막대한 투자비용과 한정된 송배전 시스템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 현실을 감안하면 분산형전원의 보급 확대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셈이다.

 지난 2003년 하반기 대규모 정전사태를 겪은 미국과 캐나다·이탈리아 등도 정전으로 인해 중앙집중 발전방식의 취약성이 드러나자 분산형 전원 보급 확대에 정책의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걸림돌은 역시나 전기요금이다. 최근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기요금 현실화가 어느 정도 이뤄졌지만 신재생에너지·LNG발전을 비롯한 분산형 전원 보급 확대를 활성화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근대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정책연구본부 전력정책연구실장은 “국토 면적이 좁은 우리나라 현실상 분산형 전원을 확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따르지만 7000만㎾를 넘어서는 전력 소비량을 감안하면 중앙집중형 발전원에 의존하는 것은 정전사태 등 한계를 보일 것”이라며 “소규모 발전원을 확대하고 대규모 수용가는 스스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사상 초유의 정전사태로 인해 분산형 전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엔지니어들이 국내 최초로 설치한 수소연료전지를 점검하고 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