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벌금지, 교사와 학생 인식차이 심하다” [건국대 논문]

정부의 체벌 금지 정책 시행 이후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태도가 이전보다 나빠지고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할 때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은 체벌 금지 후 벌점제로 인해 교사들이 더 엄격해졌다고 인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체벌 금지 후 장점으로는 학생들의 경우 인권보장, 교사들의 경우 감정억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학교가 31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난 22일 건국대 교육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양송이씨는 ‘학생 체벌금지 및 체벌 대체방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란 학위 논문(지도교수 조덕주)에서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교사 120명, 학생 300명을 설문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정부의 체벌금지 조치 후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묻는 말에서 교사들은 대체로 ‘불량해졌다’는 답을 내놨다.

‘매우 불량’은 1점, ‘매우 양호’는 5점으로 매긴 척도에서 중학교 학생들의 수업태도는 평균 2.49점에 생활태도는 2.28점, 고교생들은 수업태도 2.75점에 생활태도 2.65로 평가돼 모두 중간인 3점 아래였다.

교사의 반수 이상(57.6%)이 ‘체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으며 그 이유로는 ‘학생의 잘못을 반성하게 하기 위해서(45.6%)’, `다른 학생들의 잘못을 예방하기 위해(29.1%) 등을 꼽았다. 반면 학생들은 반발심이나 반항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체벌이 불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체벌 후 나타난 효과에 관해 교사들은 더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한 반면, 학생들은 효과가 없다고 인식했다. 각 체벌의 효과를 1∼5점으로 점수화해본 결과 매로 때리기(중학교 3.83점, 고등학교 3.62점)를 가장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청소시키기(3.54, 3.41점), 토끼뜀 뛰기, 반성문 쓰기 등이 뒤를 이었다.

교사들은 체벌금지의 장점으로는 ‘교사의 감정억제(36.4%), ’학생들의 인권보장(30.8%) 등을 꼽았다.

학생들도 다른 경우보다 매로 맞았을 때(중학생 2.25점, 고등학생 2.76점) 행동에 가장 변화가 있었으며 교실 밖으로 나가기(1.89, 1.61점)가 가장 효과가 없었다고 답했다.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체벌이 필요없다’고 답한 사례가 59.1%였지만 고등학생들은 필요하다는 응답이 54.5%나 돼 중학생(체벌 반대 68%, 찬성 32.0%)과 대조를 이뤘다.

양씨는 “학생들은 반발심이나 반항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체벌이 불필요하다고 인식했지만 교사들은 잘못을 반성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체벌 금지 후 체벌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태도는 불량해져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할 때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간접체벌 규정과 경계에 대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교과부가 발표한 학교문화 선진화 방향의 5개 항목 중 학생은 ‘멘티-멘토 1대1 구성’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한 반면, 다른 항목들은 모두 보통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출석정지 도입’이 가장 효과적이며 다른 모든 항목에 관해서도 모두 효과적일 것으로 인식했다.

양 씨는 논문에서 체벌금지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간접체벌에 관한 명확한 규정과 경계가 필요하며, 간접체벌을 하게 될 경우 교사의 감정개입이나 학생의 반발심이 생길 수 있는 만큼 학생이 납득할 수 있도록 학생의 이해를 얻을 수 있는 태도를 갖추고 간접 체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체벌이 금지되고 그에 대한 대체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현재의 교실 상황에서는 교육이 힘들어질수 있고 학생의 인권도 중요하지만 교사들의 권위와 사기저하는 학교 교육의 질을 낮아지게 하는 만큼 정학과 퇴학 규정의 강화 등 체별 대체 시스템이 자리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자신문미디어 테크트렌드팀 trend@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