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기술이전 실적 ‘0’건.”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발족한 ‘광주기술이전협의회’의 지난 1년간 성과다.
광주기술이전협의회가 설립 1년여가 다가오지만 공동 기술이전 실적이 한 건도 없다. 회원기관들의 참여의지도 저조해 ‘있으나 마나한’ 조직으로 전락했다.
참여기관인 대학과 연구기관은 별도의 기술이전 전담조직(TLO)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업무중복이란 지적도 나온다. 운영 예산 역시 1000만원이 조금 넘는다. 기술사업화 추진에는 턱없이 모자란다.
◇왜 만들었나=광주시는 지난해 11월 ‘지역기업 보호와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 광주테크노파크를 주관기관으로 하는 ‘광주기술이전협의회’를 발족했다. 광주과기원을 비롯해 전남대, 한국광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등 지원기관 14곳이 참여했다.
협의회는 △연구성과물의 지역 내 산업화 강화 △광주시 연구개발 자금 지원 △연구성과 마케팅 공동추진을 위해 만들어졌다. 독자적으로 기술이전에 나설 경우 규모화된 기술이전이 어렵고 특허출원기술이나 수요기업 DB 등 정보공유에도 어려움이 예상돼 통합 조직이 신설된 것이다.
◇기술이전 협력하면 손해?=그러나 설립 1년여가 되도록 협의회 활동은 지지부진하다. 공동연구성과는 한 건도 없고 홍보, 교육 등 공동프로젝트 추진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지난 2008~2010년까지 최근 3년간 이들 기관에서 평균 16건의 기술을 개발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 같이 실적이 없는 이유는 예산과 인센티브에서 협의회가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현격히 밀리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GIST는 대학 선도 기술이전전담조직 지원 사업 1·2단계 사업기관으로 선정돼 2004년부터 연간 50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았다. 지난해 이 기관 기술료 수입은 21억원이다. 인센티브도 1억~2억원가량이 지급됐다.
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본부, 전자부품연구원 광주본부 등 일부 연구기관은 광주에서 개발된 기술이라도 소유권이 본원으로 귀속되기 때문에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TLO 담당자가 기술이전 업무를 전담하기 때문에 특허출원, 기술이전기업, 이전료 등에 따른 의사결정 과정이 복잡하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밀집된 수도권으로 지역기술이 이전될 가능성도 높다.
◇특구본부와 연계 강화해야=전문가들은 ‘연구개발특구본부 광주기술사업화 센터와의 공조’를 강조하고 있다. 광주기술사업화센터가 추진하는 지원 사업에 협의회가 참여해 공공TLO와 민간사업화 전문회사가 협업하는 방안을 모색하라는 것이다. 광주기술사업화센터에는 50억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다.
이와 함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례처럼 광주테크노파크와 손을 잡고 10% 중개수수료를 지급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사업화센터 관계자는 “전략산업종합정보망과 같은 통합사이트 구축을 논의하고 있다”면서“다음 달께 산업별, 분야별 기술이전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지원계획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광주기술이전협의회 관계자는 “대학과 기관이 기술이전을 바라보는 관점이 제각각이고 기술사업화에 지원되는 예산도 부족하기 때문에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은 맞다”고 말했다.
광주=서인주기자 si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