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화 두 달째로 접어든 MVNO가 좀처럼 시장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후불통화’ ‘번호이동’ ‘단말기’ 이른바 3대 과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시장 연착륙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8일 방송통신위원회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SK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임차해 재판매서비스를 제공 중인 아이즈비전, 한국정보통신, 한국케이블텔레콤(KCT) 3개사 가입자는 7월 말 현재 1500명 안팎이다. 이 가운데 한국정보통신은 점포용 카드결제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일반 음성통화를 이용하는 실질적인 개인 가입자 수는 이를 훨씬 밑도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비스 초기임을 감안하더라도 5000만명이 넘는 국내 이동통신시장에서 기존 통신사업자 경쟁구도에 영향을 미쳐 통신요금 인하 효과를 거두기에는 요원한 수준이다.
이는 현재 MVNO서비스가 일반 가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선불통화에 국한된 데다 지원하는 단말기도 적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음성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즈비전과 KCT는 선불통화만 제공한다.
선불통화는 가입자 통신 과소비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해외에서는 활성화됐지만 국내에서는 외국인이나 정식 가입이 힘든 경우에 쓰는 서비스로 인식되는 단점을 지녔다. 후불통화가 안 되니 번호이동도 불가능하다. 자신이 수년간 사용하던 번호를 바꿔가면서 MVNO로 옮기는 수요가 적을 수밖에 없다.
선불통화 중심의 MVNO서비스에 고객 관심이 따라오지 않으면서 사업자 역시 마케팅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실제로 한 MVNO사업자는 “선불통화 MVNO서비스는 고객에게 어필하기 어렵다고 보고 적극적으로 마케팅하기 보다는 가입요청이 있을 때 응대하는 형태로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단말기가 제한돼 있다는 점도 단점이다. 현재 KCT는 선불통화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기 보유한 공 단말기 USIM카드를 교체해 재활용하는 방향으로 서비스를 지원한다. 아직 고객 수요가 적은 상황에서 별도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 제품군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당 사업주체는 물론이고 방통위도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 중이다. KCT를 비롯해 올 연말 서비스 개시를 준비 중인 MVNO사업자들은 후불통화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후불통화 서비스 개시에 맞춰 번호이동성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 번호이동을 위해서는 도매제공 의무사업자인 SK텔레콤뿐만 아니라 KT, LG유플러스 등 다른 사업자 협조도 필요한 만큼 내년 상반기 번호이동 시행을 목표로 추진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다만 단말기 부분은 아직 뚜렷한 해결방안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SK텔레콤이 임시로 재고 단말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최신 단말기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라는 게 업계 판단이다.
이에 따라 KCT는 내년 초부터는 자체적으로 제조사를 통한 단말기 수급을 꾀할 계획이지만 스마트폰으로 이미 눈높이가 높아진 고객층에 얼마나 효과를 볼 지 미지수다.
MVNO 관계자는 “단순히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현 서비스로는 기존 이동통신 이용자를 유치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장 반응으로 절감했다”며 “하루 빨리 번호이동이 가능한 후불통화를 도입하고 다양한 고객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단말기와 부가서비스를 확보하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