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기억은 왜 유난히 더 생각나고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뇌 과학자들은 나쁜 기억이 당신이 정체되어 있거나 문제를 회피하려고 할 때 뇌가 보내는 신호라고 말한다. 뇌가 나에게 나쁜 기억을 생각나게 하는 이유는 `나`가 `뇌`를 방해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신간도서 “왜 나쁜 기억은 자꾸 생각나는가(김재현 저, 컨텐츠하우스 발행)”는 물질적 문재인 `뇌`가 심리적 존재인 `나`의 간섭을 받을 때 나쁜 기억이라는 신호를 보낸다고 설명한다. 물질적 존재인 뇌를 다루는 뇌 과학과, 심리적 존재인 `나`를 다루는 인문학이 `나쁜 기억`을 매개로 만나는 지점을 이 책은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뇌는 본래 탁월한 학습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 데이비트 챔버린 박사는 임상 실험을 통해 태아가 지닌 학습 능력을 증명했으며, EBS 다큐프라임에서는 실험을 통해 갓난 아기들이 기초적인 물리 법칙을 선천적으로 알고 태어남을 방영한 바 있다.
뇌의 능력은 이뿐만이 아니다. 뇌졸중으로 뇌 신경세포의 95%를 잃은 사람이 정상인과 똑같이 회복된 사례가 보고 되었으며, 자의적으로 바이털사인을 조절하는 명상 수련자들의 예도 잘 알려져 있다.
뇌 과학자들은 뇌가 지닌 능력에 비춰 보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왜 이런 현상이 일부 사람들에게서만 발견 되는 것일까?
이 책은 `뇌`가 마음껏 능력을 펼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점을 `나`라는 의식 속에서 찾아냈다. 엄마 뱃속의 태아나 갓난아기에게는 아직 `나`라는 의식이 없으며, 명상 수련자들은 수련을 통해 `나`를 내려놓는 법을 익힌 것이다. 요컨대 `나`라는 심리적 존재가 `뇌`라는 물질적 존재를 억누르지 않으면 뇌는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 김재현은 뇌를 공부하는 의사이자 비전을 가르치는 강사이다. 진료를 보기 위해 찾아오는 환자들에게 뇌와 비전에 대한 깊이 있는 철학을 들려주고, 동기 부여를 하는 의사로 유명하다.
비전 달성이라는 실천 문제를 뇌 과학의 차원에서 접근하던 중, 뇌가 ㅅ미리적인 요인에 의해 크게 간섭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심리학과 인문학으로 탐구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나쁜 기억으로부터 도망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나쁜 기억이 왜 찾아 오는지 그 이유를 깨닫고, 반갑게 맞이하라는게 그의 메시지다. 그 때 비로소 우리의 뇌는 자신의 능력을 모두 발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즉, 뇌를 계발하고 싶다면 `나`로부터 `뇌`를 해방시켜야 한다. 그 방법을 “왜 나쁜 기억은 자꾸 생각나는가(김재현 저, 컨텐츠하우스 발행)”에서 찾아보는 건 어떨까.
전자신문미디어 테크트렌드팀 tre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