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IT업계 “스마트폰 보안, 개별기업 문제 아니다”

 일본 주요 IT 기업들이 안전한 스마트폰 사용을 위해 튼튼한 보안의 벽을 함께 쌓기로 합의했다. 특히 이 대열에는 구글이나 시만텍 등 스마트폰과 보안 시장 거인들이 동참한다.

 니혼게이자이는 NTT도코모와 소프트뱅크, KDDI 등 일본 주요 통신업체를 시작으로 40여개 IT 기업이 모여 오는 25일 ‘일본 시큐리티포럼’을 출범한다고 16일 밝혔다.

 포럼에는 일본 기업뿐 아니라 보안 업체인 시만텍과 트렌드마이크로,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시스코시스템즈도 들어간다. 또 스마트폰용 운용체계(OS) 안드로이드를 개발한 구글도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포럼은 10월까지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책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스마트폰용 OS 약점을 찾아 구글과 애플에 전달, 개선하는 일도 병행한다. 또 스마트폰용 OS 약점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기업에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스마트폰 분실 시 정보 유출을 막는 장치인증 기술도 개발한다.

 니혼게이자이는 올해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4억2000만대로 PC를 넘어선다고 내다봤다. 이신문은 또 스마트폰은 PC처럼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받기 때문에 악성코드가 침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악성코드는 주로 게임처럼 사람들이 선호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장한다.

 포럼에 참가하는 시만텍 측은 “스마트폰은 PC만큼 고생하지 않고도 악성코드가 침입할 수 있는 대상”이라며 “앞으로 PC 못지않게 스마트폰 보안 중요성이 높아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 1000만명 시대를 맞은 우리나라는 일찌감치 스마트폰 보안 대책을 수립, 추진해오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주도로 지난해부터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관 합동대응반’(1월)과 ‘모바일 시큐리티 포럼’을 잇따라 만들었다. 여기에는 KT와 SK텔레콤, 삼성전자, LG전자, 안철수연구소를 비롯해 한국인터넷진흥원, ETRI 등이 참가했다.

 전문가들은 빠른 대응만이 능사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박춘식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일본은 한번 시작한 정책을 교과서적으로 차근차근 진행해, 몇 년 뒤 결과를 보면 확실한 성과를 거둔다”며 “보안은 떠들썩한 계획보다 꾸준히 준비가 중요하기 때문에 민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