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지진 두달]달라진 것 없는 후쿠시마...재앙, 현재진행형

Photo Image
지난 8일 일본 이와테현 오츠치시에서 대형 기계 장비들이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생긴 잔해를 치우고 있다. 일본 정부는 2일 집계된 실종자는 아직도 1만808명이며 사망자는 1만4728명으로 공식 발표했다.<이와테(일본)=AFP연합뉴스>

 지난 8일 현재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의 노심손상(멜트다운) 정도는 1호기가 55%, 2호기 35%, 3호기 30%다. 냉각기능은 1~3호기 모두 상실됐다. 일본원자력산업협회가 매일 공개하고 있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상황이다. 지난 달과 비교해 숫자만 다소 구체화됐을 뿐 차이가 없다. 노심연료 건전성과 건물 상태, 원자로 냉각기능 등 총 9개 항목이 여전히 심각수준이기 때문이다.

 일본 상황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한국에서도 이로 인해 원전의 안전성이 도마에 올라 논쟁이 한창이다. 정부는 향후 예상되는 여름철 전력수요 등에 대비해 고리 원전 1호기의 재가동에 들어갔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2개월을 맞아 일본 상황을 점검하고, 국내 원전의 정책적인 방향과 안전에 대해 따져봤다.

 ◇끝나지 않은 일본 원전 재앙=후쿠시마 앞바다의 오염은 방사선 물질인 반감기 30년의 세슘이 평소의 3만8000배에 이르기도 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전용 항만 부근에서는 한때 요오드-131은 평소보다 5만2000배나 검출됐다.

 현재는 방사선 피폭 정도가 감소하고는 있지만 오염상태는 여전히 심각하다. 물론 직접적인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후유증 여부를 판단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일부에서는 일본 정부가 주민을 이주시킨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를 복원하는 데는 수십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체르노빌 원전사태와 같은 7등급의 최악의 사고였다. 수습이 쉽지 않을뿐더러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데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은 해바라기 등을 이용한 토양 제염 방안을 모색 중이다.

 장순흥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일본 사태가 어느 정도 정리되려면 올해 연말은 돼야 할 것으로 본다”며 “후쿠시마 원전 1·3호기의 격납용기 내에 물을 채우는 외벽냉각(수장냉각)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국내 원전 안전성 논란 여전=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매일 방사선 지방측정소 71곳에서 대기 중 떠다니는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지난 4월 26일 이후 국내 검출은 모두 정상준위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측은 “일단 일본의 영향권 아래에 놓여 있긴 해도 피해수준은 예상대로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논란은 여전하다. 고리원전 1호기의 전력 및 냉각계통 등의 6개 부문 27개 항목에 대한 정밀진단 과정을 거쳐 지난 8일 본격적으로 재가동에 들어갔으나 안전에 대한 불신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일본 원전사고의 핵심인 수소폭발과 관련한 방지장치도 현재는 고리원전 1호기에만 설치돼 있다.

 정부가 구상 중인 원자력안전위원회(규제중심)와 원자력위원회(이용 및 개발중심)에 대한 역할과 관할, 위원 구성 등을 둘러싸고 논란도 지속되고 있다.

 원자로의 사용후연료인 핵폐기물 처리 대책에 대해서도 정책적인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출연연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총체적인 점검을 시도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하루 이틀 내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원전서 나오는 핵폐기물 처리도 골치=핵폐기물의 처리도 향후 원전 핵연료 사용 공정의 최대 이슈로 부상했다. 국내에서는 매년 1000톤가량의 사용후핵연료가 쌓여가고 있다.

 이의 처리를 위해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퓨렉스(습식처리) 공정은 핵폭탄 제조에 이용되는 플루토늄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도입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사용후핵연료를 550℃의 온도에서 활용하는 파이로프로세싱(건식처리)의 연속 공정에 관한 연구는 해볼만 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연속공정만 확보한다면 미국도 파이로프로세싱 공정의 도입을 반대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장상구 원자력통제기술원장은 “향후 우리나라가 풀고 가야할 문제 중의 하나는 파이로프로세싱이다. 1000톤가량의 핵연료를 사용하면 대략 950톤가량이 나오게 되는데, 이를 처리할 새로운 시설을 짓는 데 막대한 예산과 미국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일본과 공동으로 불화처리 방법으로 나아가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일본 측 원자력 전문가와 협의해본 결과, 불화처리에 한국과 공동보조를 맞출 의향이 있다”는 의사를 전달해 왔다며 “향후 논의를 지속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