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성공하려면 연구단지와 연계해야”

Photo Image
4일 대전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열린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전략 포럼`에서 패널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최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입지 선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정치논리로 입지가 선정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선근 대전대 교수는 4일 대전 연구개발특구본부에서 열린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 전략 공동 포럼’에서 패널 토론을 통해 “과학벨트가 성공적으로 조성되기 위해서는 먹이사슬과 가치사슬이 잘 형성돼야 하는데 지금처럼 정치적인 논리로 국내 과학기술계 집적지인 대덕연구단지와 과학벨트가 연계되지 않은 채 입지가 선정된다면 실패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과학벨트의 가치사슬을 빵을 만드는 제과산업에 비유하며 “밀을 만드는 곳이 과학벨트라면 이러한 밀을 밀가루로 만드는 곳은 대덕연구단지가 될 것이며, 밀가루를 빵으로 만드는 산업단지는 전국에 확산시키는 그림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현 정부 들어와서 안타까운 점은 국가적인 과학재원을 전국에 나눠주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다른 선진국들이 최근 들어 첨단 장비와 조직을 한 곳에 클러스터로 모으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연구개발특구 추가 지정에다 대덕연구단지도 분원을 만들어 분산시키는 등 세계 흐름에 역행해 과학기술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종석 정부출연연 연구발전협의회 고문은 “과학벨트에 들어설 기초과학연구원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조직과 운영 체계를 갖는 새로운 연구기관이 될 것”이라면서 “출연연의 연구자 입장에서는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이 하나의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는 만큼 냉철하게 판단해 어떻게 연계해서 시너지를 낼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석봉 대덕넷 대표는 “과학벨트를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국가 백년대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면서 “현재 정부가 과학벨트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려 하는데 충청권에서는 이러한 정부를 어떻게 설득해야 할 지, 과학벨트가 충청권에 오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과학벨트 유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

Photo Image
4일 대전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열린 `성공적인 과학벨트 조성전략 포럼`에서 패널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