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은 음성(voice)과 개인정보(private data), 낚시(fishing)를 합성한 신조어로 전화를 통해 불법적으로 개인 정보를 빼내서 사용하는 범죄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쉽게 믿을 수 있는 공공기관을 사칭해서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번호, 은행계좌번호 등을 알아내고 통장에 있는 돈을 빼가는 전화금융 사기를 말한다.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 것은 2006년부터다. 당시에는 국세 환급금을 미끼로 금융기관 CD기로 피해자를 유인해 통장에 있는 돈을 빼갔다.
하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생활에 익숙한 우체국 택배를 미끼로 접근하기도 하고, 은행이나 카드사를 사칭 연체료 납부를 요구하는가 하면 검찰이나 경찰, 금융감독원과 같은 공공기관을 사칭하기도 한다. 자녀납치를 가장한 보이스피싱이 등장하는가 하고 계좌정보가 누출됐으니 안전한 계좌로 옮겨야 한다고 속인 뒤 대포통장으로 이체시켜 돈을 빼가는 수법 등 다양하다.
알고도 속는다. 그 동안 우체국과 경찰, 금융감독원, 언론 등에서 대대적인 홍보활동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는 계속 나온다.
지난해 경찰청에 신고 된 보이스피싱 피해건수는 5455건이고 피해금액은 553억원에 이른다. 또 전국의 우체국 창구에서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은 건수만 해도 271건에 60억6800만원에 이른다. 이는 2009년 208건 32억8300만원에 비해 건수는 63건 피해예방 금액은 27억8500만원이 늘어난 것으로 보이스피싱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이스피싱의 피해사례가 많이 알려졌지만, 다급하게 전화를 받다 보면 사기라는 것을 깨닫기 어렵고,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운 노인들을 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우체국에서 피해를 예방한 271건 중 90%에 해당하는 245건이 60대 이상이다.
보이스피싱 피해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노인들의 안전한 생활보장은 미래 복지정책의 중심이다.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예방 활동과 국민적 관심으로 보이스피싱이 완전히 근절되기를, 그래서 생계자금을 일순간 사기당하고 눈물짓는 노인들이 더 이상 생겨나지 않기를 간절히 기대해 본다.
방창현 경북체신청 금융검사과장 tongo24@mke.go.kr
-
정재훈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