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발(發) 시민혁명에서 촉발된 중동 민주화 요구 확산 움직임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같은 인터넷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집트 정부가 28일 대규모 반(反)정부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인터넷과 휴대전화 서비스부터 차단하고 나선 대목은 인터넷의 위력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튀니지, 이집트, 알제리, 예맨 등 아랍권의 시민봉기를 이끄는 주력부대가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에 익숙한 청년세대라는 점에서 지금 중동에서 번지는 민주화 물결은 `인터넷 시민혁명`이라 할 만하다.
시위를 주도하는 활동가들이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을 이용해 지지세력을 결집하고 시위를 조직하는 한편 검거를 피하는 방법이나 최루탄 대응 요령 등을 참가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인터넷 공간에서만 반(反)정부 투쟁을 전개해온 활동가들이 인터넷을 반정부 시위의 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SNS를 통해 전달되는 시위 현장의 생생한 사진과 시위 관련 소식들은 젊은이들을 시위 현장으로 이끌면서 시위가 빠르게 번지는 배경이 되고 있다.
여기에는 오랜 독재 체제 아래 억압돼 있는 언론 자유 환경이 일차적 배경이 됐다.
제도권 언론을 통한 개혁 촉구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뿐더러 쉽게 묵살되는 현실에서 청년층의 분노가 인터넷을 통해 발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집트 정치분석가 나빌 압델 파타는 "현 체제는 개혁을 요구하는 거듭된 목소리에 답하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이들 신세대는 가상공간을 이용해 침묵을 깨고 거리로 몰려나왔다"고 말했다.
이집트의 인터넷 사용자는 2천300만명으로 인구의 약 ¼에 달한다. 이집트 시위 주도단체 중 하나는 지난해 6월 반부패 활동가 칼레드 사이드 고문치사 사건에 분노한 페이스북 활동가 모임이다.
예멘에서는 SNS 사용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튀니지의 경우 벤 알리 전 대통령이 천문학적인 재산을 숨기고 있다는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외교전문이 가난에 찌든 국민의 공분을 촉발했다. 독재 정권의 정보 통제력이 무너진 공간인 것이다.
그러나 이번 이집트의 사례는 인터넷 시민봉기가 지니는 한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인터넷 또는 휴대전화 사업자가 제한돼 있을 경우 집권 세력의 전면적인 서비스 중단이 시민봉기의 동력을 쉽게 잃을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비정부기구(NFO)인 리페 NCC의 다니엘 카렌버그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가 적은 국가일수록 인터넷이 권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차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이 인터넷 시민봉기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집권 세력은 인터넷을 차단하는 손쉬운 방법으로 반정부 시위의 엔진을 꺼버릴 수 있다는 의미다.
[연합뉴스]
국제 많이 본 뉴스
-
1
'오징어게임2' 엇갈린 외신 반응 “날카로움 잃었지만…”
-
2
美 우주비행사 2명 “이러다 우주 미아될라” [숏폼]
-
3
'아기 매머드' 5만년 전 그대로 꽁꽁 얼었다
-
4
'파나마 운하' 달라는 트럼프, 그린란드 또 눈독… “파는 거 아냐”
-
5
'38명 사망' 아제르바이잔 비행기 추락 사고, 원인은 새떼?
-
6
프랑스 기관사, 달리는 기차서 투신… 탑승객 400명 '크리스마스의 악몽'
-
7
골 넣자 단체로 파시스트 경례한 관중들…왜? [숏폼]
-
8
“코로나19, 자연발생 아냐...실험실서 유출”
-
9
中, '가짜 배' 착용하고 만삭 사진 찍는 유행? [숏폼]
-
10
“그 얘기 들었어? 파하하” 박장대소 물개… 올해의 가장 웃긴 야생동물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