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식경제부와 손잡고 마곡지구에 조성 중인 바이오클러스터 사업이 좌초위기에 처했다. 시의회가 올해 서울시가 바이오메디컬 펀드 예산으로 요청한 225억원 전액을 삭감했기 때문이다. 예산 삭감을 주도한 민주당 측은 바이오펀드가 지방재정법 18조를 위반한데다 국토 균형발전 취지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시각이어서 합의점을 찾기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바이오메디컬펀드는 서울시가 해외 유명 바이오 의료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할 목적으로 조성한 매칭펀드다. 지난해까지 지경부 200억원, 대한생명 100억원, 한화기술금융 65억원 등 총 450억원을 조성했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총 1000억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18일 현재 75억원의 기금을 조성했으며, 올해 예산과 중소기업기금을 합쳐 225억원을 추가로 마련할 예정이었으나, 시의회가 펀드 예산 전액을 삭감하면서 더 이상 바이오메디컬 펀드 출자가 불가능하게 됐다.
서울시는 펀드가 예정대로 조성되면, 마곡지구를 IT·BT·GT 등의 첨단 산업과 국제 업무가 공존하는 친환경 지식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하고, 바이오를 서울시의 8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와 협력해 세계적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박중권 서울시 투자유치과장은 “서울시에 산업이 없다. 서울시는 서비스 산업이 90%를 차지한다”며 “62개의 종합병원, 인천공항과의 지리적 근접성 등을 감안할 때 서울만큼 바이오 사업의 최적지가 없다”고 설명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꾀하는 미국과 유럽의 다국적 바이오 및 제약회사들이 한국을 교두보로 삼게 하자는 것이다.
바이오 업계도 서울시가 경쟁 상대인 싱가포르 및 일본 도쿄, 중국 상하이를 제치고 아시아의 바이오의료 산업의 허브가 되기 위해선 조기 투자와 민관 협력이 필수라는 반응이다.
한국바이오산업협회 관계자는 “대학병원과의 연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이오 펀드에서 연구개발(R&D)비를 지원받는 기업의 업무 생산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며 “아시아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외 기업들은 서울이 아니라면, 우리나라 지방 도시보다는 싱가포르·홍콩·상하이를 투자처로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예산안 삭감 결정이 이뤄진 시의회 재정경제위원회 측은 바이오 투자에 따른 위험성이 크고, 오송 등과의 중복투자를 이유로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예산 처리에 반대한 김연선 민주당 시의원은 “이미 국가 기간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오송에 바이오 단지가 설립되고, 대학교와 연구기관이 투자를 하고 있다”며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바이오메디컬 펀드 투자 회수율이 10% 정도로 낮다”고 설명했다.
김원석기자 stone201@etnews.co.kr
-
김원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