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사례지도 인터페이스 개발
재해사례지도는 Java Script를 사용하여 웹 서비스로 개발하였으며, 베이스 맵은 Google Map을 활용하였다. Google에서는 손쉽게 지도를 이용한 매쉬업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Map Open API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재해사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지도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Google Map의 지도 관련 기능을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 재사용하여 재해사례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이 가능해 진다.
재해사례지도는 과거 재해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향후 재난관리의 기능·목적별로 분산되어 운영되고 있는 다수의 정보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재난·재해정보를 단계적으로 통합·연계하여 확장할 계획이다. 침수흔적도, 소하천 정비사업 관련 정보 등 자연재해 관련 정보 및 특정관리대상시설물, 물놀이, 유도선 사고와 같은 인적재난 관련 정보를 단계적으로 통합·연계할 계획이다.
또한, 재난관리 업무와 사용자 그리고 상황에 따라 알고자 하는 정보가 동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정보를 찾아 헤매는 시간을 단축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사용자·업무·상황 통합맞춤형 검색 프레임웍을 개발하여 고도화를 계획하고 있다.
재해사례지도의 궁극적인 목표인 사용자 및 업무 중심의 재난·재해정보 포털서비스는 기능과 목적이 다른 다양한 재난관리 업무와 이에 필요한 활용 정보의 관계를 분석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업무에 맞춤형으로 동적 정보제공이 가능하도록 기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21세기 정보기술 트랜드는 기술오픈을 통하여 개인의 참여를 유도하고 정보를 개인으로부터 얻어 개인에게 전달하는 웹2.0 시대로 급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재해사례지도는 사용자에게 재해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인 동시에 사용자부터 재해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재해 현장에 있는 사용자 자신의 모바일 폰으로 찍은 재해 현장사진과 간략한 상황설명을 재해사례지도를 통해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재해정보에 대한 정성적 콘텐츠 연구 또한 필요하다. 재난 선진국의 개발 콘텐츠들을 적극 수용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지역에 발생한 재해들에 대해 연대별 정보를 제공하는 재해 타임시리즈(time series) 서비스를 개발한다.
또한, 검색기능을 개인정보와 연계하여 거주지 혹은 관심지역을 우선으로 검색하여 보여주는 개인화 검색 서비스, 단순 검색 키워드 매칭이 아닌 사용자 질의를 확장하고 시맨틱(Semantic) 매칭을 수행한 의미검색 서비스로의 고도화를 계획하고 있다.
참고 문헌
[1] “재난관리 60년사”, 소방방재청, 2009.
[2] “방재연구 10년(1997~2007)”, 국립방재연구소, 2008.
[3] “재난 및 사고피해 현장조사 자료집”, 국립방재연구소, 2007.
[4] 김찬오, “5000년 재난관리 역사로 보는 소방방재청의 비전”, 소방방재청, 2006.
[5] 최선화, 구신회, “재해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재해지도 서비스 프로토타입 개발”, 한국방재학회 2009년 춘계논문발표회 논문집, 2009.
[6] 최선화, 구신회, 정태성, 이원호, “재해사례정보의 효율적 공유를 위한 재해사례지도 개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년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9.
[7] “태풍 루사 연구논문집”, 강릉시, 2003.
[8] “2002년 태풍 루사에 의한 강원도 지역 대홍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9] “재해극복 30년사”, 내무부, 1995.
[10] “수해백서(2002년)”, 국립방재연구소, 2003.
[11] “수해백서(2000년)”, 중앙재해대책본부, 2001.
[12] “수해백서(1998년)”, 행정자치부, 1999.
[13] “태풍 루사 수해백서”, 고성군, 2005.
[14] “2002 수해백서”, 동해시, 2004.
[15] “2002 태풍 루사 피해 현장조사 보고서”, 국립방재연구소, 2002.
[16] “2003 태풍 매미 피해 현장조사 보고서”, 국립방재연구소, 2003.
[17] “한반도의 지진재해도 작성을 위한 역사피해지진의 평가 및 종합정리”, 국립방재연구소, 1999.
[18] Seonhwa Choi, "Development of the Disaster Instance Map Including Historical Disaster Instances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New Technologies for Urban Safety of Mega Cities in Asia, 2009.
[19] Dean Allemang, Jim Hendler, “Semantic Web for the working ontologist”, ELSEVIER, 2008.
[20] Ramesh R. Rao, Jon Eisenberg, and Ted Schmitt,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 The Role of IT in Mitiga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5.
<재난포커스 (http://www.di-focus.com) - 소방방재청 방재연구소 최선화, 구신회, 이원호>
많이 본 뉴스
-
1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2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3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4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5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6
인텔, 美 반도체 보조금 78.6억달러 확정
-
7
갤럭시S25 울트라, 제품 영상 유출?… “어떻게 생겼나”
-
8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
9
삼성전자 사장 승진자는 누구?
-
10
美 캘리포니아 등 6개주, 내년부터 '전기차 판매 의무화'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