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기 조절로도 치료 가능”

청소년이 간단한 자기 조절만으로도 인터넷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셧다운제 등 차단 일변도로 청소년의 인터넷이나 게임 중독을 막으려는 주장의 설득력이 떨어질 전망이다.

서울대 교육학과 황재원(39)씨는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에 대한 자기조절과정 분석`이란 박사학위 논문에서 서울에 사는 고등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6일 밝혔다.

황 박사는 3월 27일부터 한 달간 진행한 프로그램에서 참가자가 주 단위로 인터넷 사용 목표 시간을 정하게 한 뒤 매일 사용 시간을 스스로 확인해 문자메시지로 자신에게 알려주도록 했다.

황 박사는 이 과정에서 매일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지 확인하고 학생 자신이 정한 목표 시간을 주지시켰을 뿐,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칭찬이나 꾸지람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중도 탈락한 7명을 제외하고는 인터넷 평균 사용시간이 주당 15시간30분에서 3분의 1 수준인 5시간24분으로 줄었다. 참가자 중 인터넷 금단증상으로 당장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이 16명에 달했지만 일반 학생과 마찬가지로 황 박사의 프로그램은 효과를 보였다.

황 박사는 사용시간 감소폭은 프로그램 시작 첫 주 동안 참가자들이 놓인 환경과 의지 정도에 따라 저마다 달랐지만, 그 이후로는 소폭이라도 감소한 사실 자체가 이들의 목표 달성 노력을 촉진하는 유일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황 박사는 “중독 대상을 절제하라고 요구하면 중독자의 심리적 부담감을 늘려 오히려 중독 대상으로 도피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부모가 인터넷 사용을 줄이라고 강제하기보다 스스로 절제하도록 유도하는 게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