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열차무선장치 논란

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 열차무선설비 증설을 놓고 기존 VHF시스템 확장과 주파수공용통신(TRS) 시스템 신규도입 논란이 한창이다.

향후 지하철 시장을 기존 VHF 방식이 수성하느냐, TRS 방식으로 전면 교체되느냐의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양측 모두 물러날 수 없는 상황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가 2012년 12월 개통예정인 7호선 연장구간(온수~부천~부평구청) 열차무선장치로 VHF와 TRS시스템의 우열 논쟁이 한창이다. VHF시스템으로 확장하면 기존 장비를 활용할 수 있어 예산이 절감된다는 측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뒤떨어지는 장비를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측이 맞서고 있다.

기존에 VHF시스템을 사용하는 7호선의 TRS 교체 여부가 내구연한이 다가오는 2, 4, 5, 6호선 사업과도 연계될 수 있어 양측 간 공방이 더 치열하다.

원칙적으로 기존 7호선 구간이 VHF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어 연장구간도 동일한 시스템 구축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VHF 진영도 연장구간의 9개역 증설을 위해 32개역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까지 전부 교체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논리다.

총 소요비용도 VHF시스템으로 확장할 경우 TRS 구축비용의 절반 수준인 약 60억원만 투자하면 된다는 주장이다. 기존 VHF 시스템도 신규 장비가 출시되고 있어 기술적으로도 기존의 한계점을 상당부분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반대 측의 논리는 다르다.

우선 TRS로 7호선 전구간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61억원에 불과해 VHF 시스템 확장에 들어가는 비용과 비슷하다는 주장이다. 실제 복수의 해당 업체들은 41개역 전체 구축비용으로 50억~60억원대 견적서를 제출했다.

또 기존에 7호선에 구축된 VHF 시스템은 처음 개발된 일본에서도 이미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이라는 설명이다. 대구지하철 화재의 사례처럼 기술 발전이 이뤄지지 않아 사용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하철 운영환경 개선 및 시민안전을 위해 VHF에서 TRS로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고 주장한다. 실제 가장 최근에 구축된 지하철 9호선도 TRS시스템으로 구축됐다.

특히 7호선 연장구간만 TRS로 구축하고, 새로 개발된 연동시스템을 활용하면 20억원 내외의 예산으로도 구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해외에서도 VHF통신망을 사용하는 노선에서 일시에 TRS로 전환할 수 없기 때문에 연장구간을 TRS로 구축한 뒤 VHF 내구연한 이후 TRS로 전환하는 방식을 사용한 사례가 많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지하철 전 구간의 사업권과 연계된 사업이라는 점에서 업체간 양보할 수 없는 입장일 것”이라며 “어떤 방식이든 공정한 경쟁을 통해 효율적인 예산집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kr

TRS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