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운영관리협회(APICS, The Association for Operations Management) 교육위원회 회장을 맡고 있는 로버트 보쿠카(Robert Vokurka) 텍사스A&M대학 교수는 운영관리협회 회장을 역임한 공급망관리(SCM) 분야의 권위자다.
지난 24일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최하고 CIO BIZ+가 후원한 ‘SC2020-차세대SCM’ 글로벌 콘퍼런스 강연차 방한한 보쿠카 교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 SCM 전략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하며, “SCM 경쟁력을 제대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사에 걸쳐 인재를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객 눈높이에 맞춰 자원 활용해야=전략적인 SCM 경쟁력을 강조하는 보쿠카 교수는 글로벌 선두기업들의 SCM 전략이 ‘부분 최적화’에서 ‘전사 전략’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에는 물류나 구매비용 절감 같은 부분적인 원가 절감이 목표였다면, 지금 많은 선두기업들이 신규 시장 창출을 목표로 한 전략형 SCM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이를 위해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고민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단순히 투입 자원을 줄이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자원을 활용하고 이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여가는 방향으로 SCM 전략을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보쿠카 교수는 특히 국내 기업 가운데 삼성전자의 SCM 프로세스에 대해 “차별화된 리더십과 조직관리 등으로 제품 수명주기가 짧은 전자 업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SCM 경쟁력을 높여 성과를 높이고 있다”면서 “SCM을 잘 하면 선두 기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사례”라고 극찬했다. 보쿠카 교수는 이어 “미국에 비해 한국의 기업들은 글로벌 수출입 환경을 더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기 때문에 SCM 도입에 대한 열의가 더 높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보쿠가 교수도 래리 래피드 MIT대학 교통물류센터 수요관리 디렉터처럼 특정 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 전체를 모방하기보다 고유의 경쟁력을 고려한 맞춤형 SCM 모델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보쿠카 교수는 “최근 제너럴모터스(GM)가 도미노 피자의 SCM 프로세스를 벤치마킹하기도 했는데 이는 도미노피자의 모든 프로세스가 아니라 주문 후 30분 만에 배달이 이뤄지는 고객 접점의 배달 프로세스를 배우기 위해서였다”고 소개했다.
◇SCM 전문 인재 양성이 기업의 경쟁력=보쿠카 교수는 국제 SCM 전문가 자격증인 CPIM과 CSCP 개발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인물이다. 보쿠카 교수는 한국 기업들에 “차세대 SCM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기반 인프라로서 SCM 전문가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단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모든 임직원들이 SCM 프로세스에 대한 용어를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면서 “전략적인 SCM 프로세스 개선을 주도할 수 있는 인재를 많이 양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쿠카 교수는 이 관점에서 가장 효과적인 교육 중 하나로 CSCP 과정을 꼽았으며, 최근 영업 및 마케팅, 개발자 등 SCM과 관련이 없는 직원들도 SCM의 개념과 사상을 익힐 수 있는 단기 교육과정을 개발하기도 했다.
보쿠카 교수는 “CSCP 커리큘럼 개발 당시 촉박한 일정 속에서도 실제 기업의 모든 운영 프로세스와 경쟁력 요소 등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공급망 개념의 범위가 넓고, 변화 속도가 빨라 교육과정의 범위와 내용을 최적화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특히 4개 모듈 가운데 마지막 모듈이 시스템 구축 방법론인데, 과거보다 2배 가량 더 많은 시스템 관련 내용 중 어떤 내용을 커리큘럼에 포함시켜야 할지를 놓고 고민을 거듭했다고 한다. 특히 CSCP 자격증은 제조업에 특화된 CPIM 자격증에 비해 교육 내용이 훨씬 폭넓다.
보쿠카 교수는 “결과적으로 개인의 역량이 곧바로 기업의 역량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만큼 CSCP 자격증은 고객에서 협력업체에 이르는 SCM 전반의 영역을 다루면서 SCM의 핵심 사상과 개념을 모두 담고 있어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줄 것”이라며 “다양한 부문을 폭넓게 이해하면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다양한 SCM 관련 교육이 이뤄지고 있지만,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현실 업무에서 가장 큰 괴리를 느끼는 부분이 ‘다양한 영역을 교차해서 이해하는 역량’이라고 보쿠카 교수는 설명했다. 특히 최근 들어 CSCP 취득자들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도 종합적인 SCM 역량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전체 CSCP 자격취득자 중 아시아 국가 전문가들의 비중은 10% 정도다. 국내에는 20여명의 CSCP 자격증 보유자가 있다.
<프로필>로버트 보쿠카 교수는
로버트 보쿠카 교수는 노스웨스턴대 켈로그스쿨 MBA를 졸업하고, 텍사스A&M대에서 운영관리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텍사스 A&M대 운영관리(Operation Management) 부문 총괄 책임자이자 교수다. 2008년까지 APICS 회장으로 있으면서 CPIM과 CSCP과정 개발에 참여했다. 현재 APICS 교육연구위원회 회장이면서 말콤 볼드리지 국가 품질상(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의 시니어 평가위원(Senior Examiner)으로 활동하고 있다.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kr
과학 많이 본 뉴스
-
1
5년 전 업비트서 580억 암호화폐 탈취…경찰 “북한 해킹조직 소행”
-
2
LG이노텍, 고대호 전무 등 임원 6명 인사…“사업 경쟁력 강화”
-
3
AI돌봄로봇 '효돌', 벤처창업혁신조달상품 선정...조달청 벤처나라 입점
-
4
롯데렌탈 “지분 매각 제안받았으나, 결정된 바 없다”
-
5
'아이폰 중 가장 얇은' 아이폰17 에어, 구매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사항은?
-
6
美-中, “핵무기 사용 결정, AI 아닌 인간이 내려야”
-
7
삼성메디슨, 2년 연속 최대 매출 가시화…AI기업 도약 속도
-
8
美 한인갱단, '소녀상 모욕' 소말리 응징 예고...“미국 올 생각 접어”
-
9
아주대, GIST와 초저전압 고감도 전자피부 개발…헬스케어 혁신 기대
-
10
국내 SW산업 44조원으로 성장했지만…해외진출 기업은 3%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