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가래, 호흡 곤란 등 만성 호흡기 질환 치료제 개발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실험동물 모델 제작 시스템을 국내 연구진이 구축했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ㆍ소장 권명상) 흡입독성연구센터 이규홍 박사팀은 담배 연기를 흡입시켜 사람에게 발생하는 만성페쇄성폐질환(COPD)과 유사한 형태의 설치류 동물 모델을 만드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구축한 COPD 동물모델은 설치류(랫드와 마우스)를 대상으로 담배연기발생장치, 동물흡입시험장치, 농도조절장치 등을 통해 담배연기를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흡입시킬 수 있으며, 최대 160 마리의 동물의 동시 노출 시험도 가능하다.
이규홍 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COPD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폐섬유증과 천식 치료제 등의 연구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인프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아가 나노물질과 다양한 대기환경오염물질 등이 일으키는 호흡기 및 생체 위해성 평가 연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과학 많이 본 뉴스
-
1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요람…바이오판 '반도체 아카데미' 문 연다
-
2
美서 자신 얻은 네오이뮨텍…내년 급성 방사선 증후군 상용화 '속도'
-
3
이세돌, UNIST 특임교수로 임용…AI와 바둑 융합 연구
-
4
제약바이오 신규 1·2조 클럽 속속 등장…수익성 확대 '숙제'
-
5
한미그룹, 국내 경영권 분쟁 일단락…성장동력 中은 장남 손에
-
6
과기정통부, 한미 과학기술 협력 강화 위한 보스턴 방문
-
7
KAIST, 2025년도 학위수여식 개최…3144명 학위 수여
-
8
비귀금속 촉매로 성능↑…'81.9%' 암모니아 분해
-
9
의사수급추계위, 자문·심의 vs 최종 의사결정…역할 논쟁 팽팽
-
10
내년 의대 정원 확정 '골든타임' 임박… 협상 속도 기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