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한국판 구글 어스’를 만든다는 목표로 민간에 공간정보를 대대적으로 제공하는 등 공간정보 유통 체계를 전면 혁신한다.
28일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공간정보 유통 체계 개편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ce) 방식을 도입한다. API를 개방해 개발자들이 이를 활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단순히 정보를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원과의 융합도 도모한다. 예를 들면 주요 포털 사이트는 국토부의 공간정보를 자사의 관련 서비스와 융합한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 서비스할 수 있다.
국토부는 또 서울·부산·제주 등 9개 지역별로 분산·운영중인 지리정보유통망을 서울 공간정보 센터 중심으로 일원화해 운영 효율성도 높인다.
민간에 지리정보유통망 시스템도 개방한다. 민간기업은 직접 제작한 맛집정보·내비게이션 지도·항공사진 등 공간정보를 정부 유통망을 활용해 판매해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의 가격은 단계적으로 인하할 계획이며 민간에서 제작한 공간정보는 해당 기업이 자유롭게 가격을 책정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국내 공간정보 유통체계가 선진국에 비해 낙후해 관련 산업발전의 암초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미국은 지오데이터(geodats)를 캐나다는 지오커넥션즈(GeoConnections)를 유럽은 인스파이어(Inspire)를와 같은 포털 서비스를 마련 공공과 민간이 자유롭게 공간정보에 접근케 해 구글어스와 같은 서비스 창출의 토대를 지원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한국에서도 구글, MS 등 외국 대형 포털과 같은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정진욱기자 coolj@etnews.co.kr
과학 많이 본 뉴스
-
1
유한양행, 제약사 최초 매출 2조원 돌파…영업익은 16% 감소
-
2
AI 자율제어 내시경·초기 치매 선별…의료·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열기 '활활'
-
3
美서 자신 얻은 네오이뮨텍…내년 급성 방사선 증후군 상용화 '속도'
-
4
[이슈플러스]국내병원 '디지털전환' 가속…지속가능성장 무기
-
5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요람…바이오판 '반도체 아카데미' 문 연다
-
6
난임 성공률 65%까지 높이는 'AI 배아 분석 기술'…범부처 의료기기 R&D 사업 선정
-
7
KAIST, 2025년도 학위수여식 개최…3144명 학위 수여
-
8
산기협, 고영훈 금호석유화학 부사장 등 10명 2025년도 '기술경영인상' 수상자 선정
-
9
진료부터 행정·연구까지…병원 '디지털전환' 전방위 가속화
-
10
의사수급추계위, 자문·심의 vs 최종 의사결정…역할 논쟁 팽팽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