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광주·하남 통합시 탄생 급물살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성남·광주·하남시 현황

경기도 성남·광주·하남 통합시 설치를 위한 법안 수정안이 2일 국무회의를 통과한데 이어 8일 성남시 옛 청사에서 통합준비위원회가 출범함에 따라 인구 143만명의 통합시 탄생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들 3개 시가 하나로 통합하면 경기도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산업정책을 펼칠 수 있다. 인구가 100만명을 넘어서는 광역시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인천광역시처럼 기업 유치 및 산업단지 개발 등을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도 있다.

통합시의 재정 규모는 3조4551억원이며 전체 사업자수(개인사업자 포함)는 6만7000곳에 달한다. 이상선 성남시 지식산업과장은 “3개 시가 통합하면 산업적으로 시너지효과 엄청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남으로 이전을 원하는 기업은 많다. 하지만 지금은 부지가 없어 못받아들이고 있다. 통합이 되면 인근지역으로 유치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그는 “통합이 되면 많은 변수가 생길 것이다. 통합추진단 활동이 본격화되면 각 시의 현황을 비교해 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성남시와 광주·하남시의 산업기반 격차가 너무 커 시너지 효과를 낼지 미지수라는 평가도 있다. 실제로 성남시에는 5만개에 이르는 기업이 있지만 하남시에는 이의 10%도 안되는 185개가 전부다. 광주시도 1만6천여곳에 불과하다.이같은 격차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하남과 광주에 편중된 개발제한구역때문이다. 하남시는 전체면적의 97.2%가 그린벨트로 묶여 있다. 광주시 역시 24.2%가 그린벨트, 19.4%가 수도권 광역 상수원보호구역이라 개발이 쉽지 않다.

그러나 통합시가 개발제한구역을 해소하거나 수도권정비계획법 등의 규제를 풀수만 있다면 사정은 달라진다. 성남에 밀집해 있는 기업의 생산시설을 하남이나 광주시로 옮기거나 확충할 수 있도록 해주기만해도 통합 시너지는 충분하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산업으로 차별화를 꾀할수도 있다. 하남시는 서울에 인접해 있고 관광자원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인근에 대학이 많고 환경산업을 위한 기반도 잘 갖춰 있다. 친환경 산업 및 디지털콘텐츠 산업 등의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유치에 유리한 조건이다. 광주시는 남한산성을 비롯한 문화자원을 활용하면 문화관광 허브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 첨단기업 유치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성남시가 추진 중인 전략산업 클러스터를 통합시로 확대할 수도 있다.

수원=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