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휴대전화 업계는 ‘갈라파고스 신드롬’에 빠져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0일 기술 혁신을 통해 최신 기능을 선도해온 일본 휴대전화가 해외 시장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현실을 이같이 표현했다. 다윈이 갈라파고스 섬에서 본래 종과 다르게 진화한 생물을 발견한 것처럼 일본 업체들이 세계 시장과 동떨어진 채 진화해 왔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 휴대전화 기술은 1999년 이메일 서비스, 2000년 카메라폰, 2001년 3세대(3G) 네트워크, 2002년 음악 내려받기, 2004년 전자결제, 2005년에는 디지털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대를 앞서갔다. 그러나 국제 표준을 기다리지 않고 각종 서비스를 몇년씩 앞서 상용화한 것이 오히려 스스로 국제시장의 고립을 자초하는 결과를 낳았다. 현재 그나마 의미있게 세계 시장에 진출한 일본 휴대전화 업체는 소니 에릭슨이다. 이 또한 런던에 본사가 있는 일본-스웨덴 합작 업체다.
소니 에릭슨의 2009년 1.4분기 시장점유율은 6.3%. 이는 핀란드의 노키아, 한국의 삼성과 LG, 미 일리노이주의 모토로라에 한참 뒤지는 것이다. 일본 업체들이 그간 해외 시장에 눈을 돌리지 않았던 이유는 충분한 내수시장 덕분이었다. 2001년부터 3G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에선 1억명이 3G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두 배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일본 휴대전화 내수 시장이 급성장을 할 당시에 일본 업체들은 해외 시장에 눈을 돌릴 커다란 매력을 찾지 못했었다. 하지만, 경기침체의 여파와 내수 포화로 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올해 고작 3천만대 미만의 내수시장을 놓고 8개의 업체들이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가트너 재팬의 다자키 켄시 부회장은 “일본 휴대전화 업체들은 해외로 눈을 돌리느냐, 사업을 접느냐의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근 일본 휴대전화 업체들은 ‘갈라파고스 신드롬’ 대처를 위한 논의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최근 한 포럼에서는 그동안 주력해 왔던 하드웨어보다는 일본이 뒤처져 있는 원시적 소프트웨어 기능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외국의 인재들을 과감히 고용하는 동시에 국제 표준에 눈을 돌리는 시도를 해야 한다는 안을 내놓기도 했다고 NYT는 전했다.
바클레이즈 캐피털 재팬의 스사카 테츠로 텔레콤 애널리스트는 “일본 휴대전화 업체의 해외 시장 진출은 아직 때늦은 것이 아니다”면서 “갈라파고스 밖의 휴대전화들은 아직 기초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자 많이 본 뉴스
-
1
“中 반도체 설비 투자, 내년 꺾인다…韓 소부장도 영향권”
-
2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3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4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5
삼성전자, 27일 사장단 인사...실적부진 DS부문 쇄신 전망
-
6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7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8
상장폐지 회피 차단…한계기업 조기 퇴출
-
9
GM, 美 전기차 판매 '쑥쑥'… '게임 체인저' 부상
-
10
삼성전자 사장 승진자는 누구?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