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는 개인이나 소수의 아이디어가 사회적 가치로 창출되는 환경에서 자란다.
창조경제 시대는 개개인의 창조성을 장려하고 다양한 형태로 사회에서 결실을 보도록 하는 토양이 중요하다. 그 토양은 바로 아이디어를 비즈니스와 연계시키는 평가시스템, 펀딩지원체계, 상품화 지원과정, 시장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 법제 정비 등이다.
창조경제의 추동력 중 하나는 정보기술(IT)의 확산이다. 초고속인터넷과 이동통신 등 정보통신 인프라는 창의적인 개인이 시간과 공간 부담을 벗어나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개인의 창의적 콘텐츠는 디지털 형태로 쉽게 사람들에게 선보이고 확산된다. 그래서 ‘IT 강국 코리아’는 창조경제의 주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IT 인프라 강국 지위를 선점한 우리나라는 콘텐츠나 서비스에선 2등으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최근 세계 인터넷의 화두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다. 미국 SNS 페이스북 사용자들은 한줄 블로그 트위터에 올린 얘기나 플리커에 올린 사진을 페이스북 페이지에도 올리며 친구들과 대화한다. 개방 환경을 이용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더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수많은 외부 프로그램이 개발·판매되고 있다.
구글의 지도 데이터와 부동산 정보를 합친 서비스가 등장하는가 하면 아예 사용자 사이트에 SNS 서비스 정보를 끌어오자는 논의도 진행 중이다. 개방 환경 속에서 과거 생각지도 못했던 크고 작은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SNS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우리나라엔 이미 ‘싸이월드’라는 세계적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해외 서비스가 개방과 융합의 길을 시험하는 동안 싸이월드는 여전히 ’도토리’ 모델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세계는 대기업뿐 아니라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닌 개인 및 소수 개발자가 틈새 수요를 찾아 수많은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아이디어를 융합해 눈덩이처럼 굴러가며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창조경제 시대를 이끌려면 IT 인프라를 넘어,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닌 사람들이 자본이나 기존 유통망 진입 장벽에 막히지 않고 역량을 살릴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인프라가 필요하다. 특히 ‘을’ 처지에 있을 수밖에 없는 창조적 인재를 보호할 수 있는 ‘인큐베이터’가 절실하다.
정부는 1인 창조기업 지원책의 일환으로 1억원 한도 특례보증이나 공공구매 진입 장벽 완화, 1인 창조기업 고용 기업의 바우처 지원 제도 등을 계획 중이다. 하지만 사회적 약자인 창조적 개인과 소수가 아이디어를 발현하기에는 미흡하다. 개인이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이를 평가하고, 구체화해 비즈니스로 연계하고 보상하는 시스템 속에서만 창조경제 시대가 열릴 수 있다. 위키나 SNS, P2P를 이용한 아이디어 발굴과 협업, 소액 융자로 비즈니스 진입로를 열어주는 사회적 제도, 창의적 결과물의 가치를 인정하는 저작권 존중 문화도 아쉽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은 “우리 사회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많지만 이를 펼치지 못하게 하는 장벽도 높다”며 “개개인의 창조성을 경제나 공공 정책에 연계해 가치를 만들 수 있도록 공정한 시장의 룰을 만드는 것이 (창조경제의) 필수”라고 말했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kr
경제 많이 본 뉴스
-
1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2
현대차, 차세대 아이오닉5에 구글맵 첫 탑재
-
3
“中 반도체 설비 투자, 내년 꺾인다…韓 소부장도 영향권”
-
4
MS, 사무용 SW '아웃룩·팀즈' 수 시간 접속 장애
-
5
기계연, '생산성 6.5배' 늘리는 600㎜ 대면적 반도체 패키징 기술 실용화
-
6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7
'아이폰17 에어' 어떻길래?… “잘 안 팔릴 것”
-
8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9
[뉴스의 눈]삼성 위기론 속 법정서 심경 밝힌 이재용 회장
-
10
배달 치킨 가격 또 오른다…프랜차이즈 '이중가격제' 논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