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프로젝트매니저制` 도입

 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통신분야 기술(R&D) 중심의 규제와 진흥 정책을 총괄 기획할 프로젝트매니저(PM)그룹을 위원회 직속의 지위를 갖는 상설 기구로 설치한다. 또 위원회의 기술자문조직인 기술자문위원회를 비상설기구로 신설, 위원회의 방송통신 기술 정책 결정의 전문성을 높인다.

 23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르면 4월에 PM제도 도입을 위한 구체적 추진 계획을 확정하고 하반기 위원회 직속의 PM그룹을 꾸릴 방침이다. 이미 PM제도를 도입한다는 기본 방침은 상임위에 보고된 상태다.

 실무형 CTO 역할을 담당하게 될 PM의 도입은 사실상 출범 2년차 방통위의 방송통신 진흥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투영하고 있다는 분석이어서, 업계의 기대와 관심이 집중됐다.

 이와 함께 방통위는 PM 업무에 대한 평가와 위원회의 전체적인 기술자문을 담당할 ‘기술자문위원회’도 설치, 위원장을 비롯한 상임위원들의 방송통신 기술분야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방통위 고위관계자는 “PM은 방송통신 산업과 서비스 등 분야별로, 기술·자금·정책 등을 일정한 방향으로 일사불란하게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분야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R&D 정책의 방향을 정하는 오케스트라 지휘자 성격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PM그룹은 정부 직제상의 문제로 산하기관 내 조직으로 신설될 예정이며, 위원장 직속의 기술자문 구실을 하게 된다.

 방통위는 PM그룹을 정부 내 조직이 아닌 산하기관 내 조직으로 분리 운영할 계획으로, 조만간 산학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거쳐 확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PM의 수와 분야도 아직 미정이나 지나치게 세분화하면 혼선의 여지가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5명(5개 분야) 안팎을 두는 방안이 유력하다.

 PM제도는 옛 정보통신부가 IT산업 지원에 초점을 맞춰 지난 2003년 처음으로 도입해 운용했으나, 정통부가 위원회 조직인 방통위로 바뀌면서 제도가 사라졌다. 최근 지식경제부가 이 PM과 성격이 비슷한 프로그램 디렉터(PD)제도를 도입, R&D 상시책임 민간전문가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경부 PD의 역할은 직접적인 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에 방통위의 PM은 방송통신분야 규제 및 진흥이라는 방통위 설치 취지에 맞춰 중장기적인 기술 정책의 향배를 정하는 것”이라며 “PM은 방송통신의 중장기 표준화·기술개발 등을 기획해 큰 그림의 방통발전 방안을 마련하고, 지경부 등 타 부처와 보완적인 협조체계도 구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기술자문위원회는 미국 FCC 산하의 기술자문위원회와 비슷한 성격으로, 비상설로 운영되면서 방송통신 기술에 대한 위원회의 전문적 판단을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