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전동기 최저효율제 시행의 의미

Photo Image

 최근 고유가와 지구 온난화가 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에너지라는 단어는 일반인에게도 친숙해졌다. 우리나라와 같이 해외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을 갖는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하지만 이를 만족하는 기술 획득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정부가 제시한 신재생에너지 및 원자력 발전 비중의 확대는 적절한 해결책이라 볼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환경 오염이 없는 청정에너지지만 경제성이 많이 떨어진다. 원자력 발전은 청정하고 매우 경제적인 에너지원이 될 수 있으나 사고 부담이 높다.

 미래 에너지 공급 정책은 두 에너지원을 적절히 배합해야 한다. 에너지 공급 정책의 근간을 살펴보면 미래 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할 전기에너지를 어떻게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확보할 것인지의 고심이라고 볼 수 있다.

 전기에너지가 미래 인류가 사용할 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 우선 자연계에 있는 모든 형태의 에너지에서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에너지로 쉽게 변환할 수도 있다. 전기에너지의 응용 분야도 급속도로 확대됐다. 특히, 수송 분야에서 주목받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는 기존의 내연기관과 전동기를 동시에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신개념 자동차다. 그러나 HEV도 과도적인 기술로 미래에는 전기에너지만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주류가 될 것다. 이 추세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선박과 같은 대형의 수송시스템에도 적용된다.

 전기에너지 사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효율적으로 쓰고 소비를 최대한 억제하는 에너지 효율관리 정책이 절실하다. 현재 전동기의 전기에너지 사용량은 약 60%다. 조명에 의한 빛에너지의 사용량은 20%, 그 외의 사용량이 약 20%를 차지한다. 전동기의 비중은 앞으로 약 80%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은 이에 주목해 전동기의 효율 관리를 위한 전동기 최저효율제(MEPS:Minimum Energy Performance Standard)를 실시한다. 우리나라도 지난 7월 1일부터 전동기 최저효율제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동기 부하의 약 70%를 차지하는 삼상유도전동기에 최저효율제를 시행한다.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의 여건을 고려해 37㎾ 이하의 전동기에 대해 2010년부터 실시하며 대기업 품목이 주로 포진한 37㎾ 이상에는 올 7월 시행에 들어갔다. 지식경제부는 지난해부터 산·학·연 기술개발 체계를 만들어 고효율전동기의 개발을 위한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지원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이다. 중소기업이 표준 설계와 표준 금형을 공동으로 개발해 신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다. 지원 프로그램의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해 올해 4가지의 표준 설계 및 금형이 개발돼 중소기업에 보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정부 예산 및 개발 인력의 한계로 인해 최저효율 대상 품목 중 약 33%만을 개발하기 때문에 나머지 67% 품목의 대책이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공급 정책과 효율관리 정책을 시의적절하게 시행해 오고 있다. 이 노력의 결과는 수년 내에 가시화할 것이다. 그렇지만 정책은 항상 당근과 채찍을 적절하게 이용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현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감안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이주 한양대 전기제어생체공학부 교수 julee@hanyang.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