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업에 종사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요즘처럼 어려웠던 적은 없었던 것 같다.
현재 통신시장이 이렇게 위축된 요인은 여러 가지로 이야기할 수 있으나 휴대폰 단말기 유통의 끝단에 있는 생계형 영세 자영업자들의 눈에 가장 우려할 만한 사항으로 다가오는 것은 ‘무차별적인 통신사업자들의 전속대리점 확충’이다.
이동통신시장은 시장 형성 초기부터 지금까지 개인사업자가 초기 비용을 부담하고 매장을 마련해서 이동통신 가입자를 유치하는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야말로 이동통신 시장을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현재 집단상가를 비롯한 전국의 휴대폰 판매상은 정부와 통신사업자의 정책을 홍보하는 창구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미력하나마 이동통신시장은 자영업자의 역할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으며 휴대폰 제조업체 또한 국내 내수시장의 확대로 수출 증대에 이바지함으로써 대한민국 IT강국의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이동통신시장의 생계형 영세 자영업자는 그동안 통신사 정책에 따라 가입자를 한 명이라도 더 유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왔다. 그야말로 요즘 유행하는 프렌들리(friendly) 이상의 파트너십이라는 말을 통신사업자로부터 들으면서 위안을 받고 미래를 꿈꿔왔다.
그러나 이러한 그간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이동통신사의 파격적인 지원을 받는 전속 대리점이 기하급수적으로 전국 곳곳에 들어섰다. 이로 인해 생계형 영세 사업자는 자신들의 전 재산이다시피 한 투자금액을 회수할 길조차 없는 상황에서 아무런 대책 없이 막막하게 길거리로 내몰리는 상황이다. 시장도 혼탁해져 가격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도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은 자본력과 기술력이 부족한 영세 상인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 차원에서도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대형 할인마트의 무분별한 확장을 규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내수시장 침체에 따른 경기 불황 대책의 일환으로 이러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시장에서 유통 구조가 더욱더 왜곡되기 전에 이동통신사의 무리한 전속 대리점 확충을 검토해야 할 때다.
상반기 월 평균 230만대의 판매량을 유지하던 휴대폰 판매량이 지금은 약 160만대로 30%가량 감소를 보였으며 앞으로 의무약정 효과에 따른 감소세까지 고려한다면 약 130만대로 45%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한다면 지금 당장 생계형 영세 자영업자들을 정책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동통신사업에 종사하는 생계형 영세 자영업자도 더 이상 통신사 파트너십이나, 프렌들리에 의지하지 말고 소비자 프렌들리만이 살길이라는 당연한 명제를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고객이 믿고 찾아오는 판매점을 만들기 위해 ‘덤터기 판매’를 하지 말아야 하고 정당한 판매정책으로 소비와의 신뢰를 쌓아야 한다.
또 이동통신사는 자신들의 고객을 모집해 주는 생계형 영세 자영업자가 소비자 프렌들리로 시장에서 파트너로서 꿋꿋하게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주위사람이 우스갯소리로 하는 연탄 사러 간다는 말이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다.
오중균 강변 테크노마트 6층 상우회장 dpang@nate.com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2
누적 적설량 최대 47㎝… 한반도 때린 '눈 폭탄' 이유는?
-
3
삼성 '실속형 스마트폰' 갤럭시A16 국내 출시
-
4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5
'깜짝인하' 나선 한은, 기준금리 연 3.00%…15년만 두 달 연속 인하
-
6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7
갤럭시S25 울트라, 제품 영상 유출?… “어떻게 생겼나”
-
8
美 캘리포니아 등 6개주, 내년부터 '전기차 판매 의무화'
-
9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결제 첫 공개…“앱 하나로 3초면 끝나”
-
10
교육부 “연세대 논술 초과모집 인원, 2년후 입시에서 감축”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