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품수지 11년만에 적자 전환

올해 들어 일반상품 수지가 환란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나타냈다.

일반상품 수지는 수입가격에서 운임.보험료 등을 제거하고 소유권 변동없이 해외에서 임가공하기 위해 국경을 넘는 경우 등은 수출에서 제외하기 때문에 무역수지보다 훨씬 엄격하다.

22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1∼7월 일반상품 수지는 37억4천590만달러 적자로 작년 같은 기간의 105억1천140만달러 흑자에 비해 크게 악화됐다.

1∼7월 상품수지가 적자를 나타낸 것은 외환위기를 맞았던 1997년의 -78억1천270만달러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의 상품수지를 연도별로 보면 1998년 210억370만달러, 2000년 59억5천730만달러, 2002년 68억9천130만달러, 2004년 213억6천590만달러, 2006년 91억7천640만달러였다.

올해 일반상품 수지는 4월과 6월을 제외하고는 모두 적자였다. 월별 일반상품 수지는 1월 -18억7천980만달러, 2월 -14억8천620만달러, 3월 -7억5천90만달러, 4월 3억2천40만달러, 5월 -7억460만달러, 6월 20억6천70만달러, 7월 -13억550만달러 등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현재 상품수지는 해외 임가공 등도 수출로 분류하고 있으나 2011년께부터는 일반상품수지 방식으로 대체해 수지를 엄격히 따지도록 하는 방안이 국제통화기금(IMF)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상품 수지가 악화된 것은 유가 급등 등으로 수입액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일반상품 수입은 1∼7월에 2천430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1천821억달러에 비해 33.2%가 늘어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도별 같은 기간 일반상품 수입액은 2000년 852억달러, 2002년 770억달러, 2004년 1천141억달러, 2006년 1천598억달러 등이었다.

반면, 수출액은 올해 같은 기간 2천393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1천926억원에 비해 24.2%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이런 현상은 한국경제가 지나치게 대외 의존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내수를 키우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영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국제수지 상으로는 운수.가공 등을 포함한 상품수지로 보는게 맞지만 상품 수출입의 본질적인 흐름에서는 일반상품 수지가 기준이 된다"며 "무엇보다 고유가로 원유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것이 적자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전체 상품수지 기준으로는 올해 1~7월 누적으로 48억4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연합뉴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