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서비스 2년­ `와이브로 ` 절반은 성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KT 와이브로 가입자 증가 추이

 국내 상용서비스 2년을 맞은 휴대인터넷 와이브로가 ‘절반의 성공’이라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지난해 11월 3세대(G) 이동통신 세계 표준으로 등극한 이래 미국, 싱가포르 등에 잇따라 진출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는 반면에 국내 시장 활성화라는 숙제는 여전히 안고 있기 때문이다.

 KT·SK텔레콤 등 국내 와이브로 서비스사업자는 무선인터넷 시장 확대 국면을 맞아 와이브로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해외진출 ‘성과’, 국내 시장 ‘과제’=우선, 와이브로 관련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의 물꼬를 트고 있다.

 KT는 지난해 10월 우즈베키스탄에서 모바일 와이맥스 사업권을 확보하는 등 잇따라 해외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또 아프리카 르완다 정보통신부와 와이브로망 구축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삼성전자와 포스데이타 등 와이브로 관련 장비 업계도 미국, 싱가포르 등에서 망 구축, 장비 공급 등으로 가시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이동통신업계 3위인 스프린트넥스텔이 인텔, 구글 등과 함께 모바일 와이맥스 서비스를 위한 대형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는 등 해외 사업자가 움직이면서 국내 사업자들의 수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해외에서 굵직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가입자 수가 기대만큼 늘지 않아 걱정이다. KT는 4월 말 현재 가입자가 15만8000여명, SKT 가입자는 2000명 안팎에 머무르고 있다. LG텔레콤의 리비전A 기반 무선인터넷이 출시 한 달 만에 1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한 것에 비해 확연하게 뒤떨어지는 수치다.

 이는 와이브로의 제한된 서비스 제공 지역 및 유통망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고속 주행 중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에 특별한 강점이 없는 점도 확산에 걸림돌이 돼 왔다. 와이브로의 가입자당 평균 업로드 속도가 1.2Mbps로 HSDPA에 비해 4배 정도 빠르지만 이동 중 정보 검색을 주로 사용하는 가입자에게는 큰 효익이 없다.

 또 이용 가능한 이동속도에서도 와이브로가 뒤떨어진다. 와이브로는 시간당 100∼120㎞ 속도에서 이용이 가능한 반면에 HSDPA는 250㎞에서까지 쓸 수 있다. 이와 함께 음성 서비스가 배제돼 확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업자 적극 나서=시장 상황이 좋지 않지만 업계에서는 지금이 와이브로 확산의 적기라는 판단 아래 본격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올해가 무선 인터넷 시장이 본격 열리는 시점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모바일 단말기가 확산되고 이동성이 중요해지면서 이 트렌드를 타고 시장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KT는 올 하반기 전송속도를 2배 이상 개선한 ‘웨이브2’가 적용된 단말을 출시할 예정이다. 또 내비게이션 및 PMP 단말은 물론이고 디지털카메라 등 개인 디지털 기기와 와이브로 결합도 시도하고 있다.

 요금부담도 확 줄인다. 월 1만9800원으로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자유선언’ 요금제 프로모션 기간을 올 11월 말까지 연장할 방침이다. 또 KTF의 HSDPA단말 ‘아이플러그’ 및 메가패스, 네스팟 등과 결합상품을 구성해 최대 50%까지 요금을 할인, 가입자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SKT 역시 올해 총 42개시에 ‘핫존’을 구축하는 등 커버리지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또 조만간 웨이브2를 이용한 단말기도 선보이는 등 단말 라인업도 넓혀나갈 예정이다.

 KT 와이브로 마케팅 담당인 강국현 상무는 “오는 10월 말까지 서울과 인천·고양·성남·수원 등 수도권 17개시 전역에서 완벽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와이브로의 이동성을 강조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와이브로만의 시장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황지혜기자 gotit@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