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 2016년 포화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설 건설 논의가 새삼 불거졌다.

 오는 2016년이면 각 원자력 발전소의 임시 저장시설이 포화되는데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 시설 부지 확정에만 십수년이 걸린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조만간 관련 계획을 세우고 공론화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2007년 말 현재까지 고리, 영광, 울진, 월성의 국내 4개 원전본부에서 30년간 발생돼 저장중인 사용후연료는 총 9400여톤으로 원전 저장용량(약 1만2500톤)의 약 75%에 달한다.

 특히 울진은 올해 말이면 저장용량이 포화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월성도 내년께 포화가 예상돼 추가 저장시설 건설을 추진중이다.

 사용후연료 관리시설 공론화도 시급해졌다. 부지선정 단계부터 설계, 인허가, 건설 및 운영까지는 최소한 7∼8년 정도 걸린다.

 경주에 건설중인 중·저준위 폐기물 시설도 처음 논의 시발부터 최종 부지 선정까지 19년이 걸린 데다가 일부 지역에선 시설을 유치하려는 지자체와 반대하는 환경단체 및 지역 주민들과 ‘내전’에 가까운 폭력 사태도 빚어졌었다. 정기진 한수원 방폐장건설처장은 “시설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한 이미지가 높아져 (부지 선정에) 예전만큼 힘겨운 상황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지만 사회적 합의가 반드시 필요한 만큼 관련 논의를 하루 빨리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식경제부도 최근 국가에너지위원회 산하에 갈등관리전문위원회를 두고 ‘사용후연료 공론화 태스크포스팀(T/F)’을 통해 지난해부터 작업해온 사용후연료 공론화를 위한 권고 보고서 작성 작업을 마무리 지었다. 조만간 추진 체계와 방향, 일정 등 세부 계획을 확정해 공론화한다는 방침이다. 교육과학기술부도 지난해 말 방사성폐기물관리시설 예측일정, 소듐 냉각로 및 파이로 건식처리 추진일정 등을 내용으로 한 ‘미래 원자력 종합 로드맵’ 시안을 내놓은 바 있다.

 한편 지난해 11월 착공에 들어간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시설 건설은 현재 약 26%의 종합 공정율을 기록중이며 한수원 측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건설·운영허가가 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최순욱기자 choisw@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