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의무약정제 고객몰이 나선다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통신사업자별 의무약정제

 휴대폰 의무약정제가 시행 20여일 만에 가입자 64만명을 돌파하는 등 시장에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의무약정제는 휴대폰을 개통할 때 사용기간을 약정하고 휴대폰 비용이나 요금을 할인받는 제도다.

 의무약정제가 시장의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은 단말기 교체 시 최대 18만원까지 가격이 할인되는 등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기존 보조금 정책과 달리 기기변경 고객에게도 같은 수준의 할인폭이 제시되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업계는 의무약정제가 가입자 유치를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가입자를 묶어두는 효과(락인)도 크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의무약정제 시장 안착=2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으로 휴대폰 의무약정제 가입자가 총 64만6000여명에 이르고 있다. 지난 1일 제도 시행 이후 하루 평균 3만2000명 이상이 가입한 셈이다.

 사업자별로는 SKT가 46만6000명의 의무약정제 가입자를 유치했다. 신규가입 및 기변 수요의 80%를 차지하는 수치다. 또 KTF는 18만명으로 전체 수요의 60%가 의무약정제를 선택하고 있다. KTF 측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입자 증가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면서 “고객이 실질적인 혜택을 확인하고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이통사 보조금 정책은 판매점에 리베이트 형태의 지원 부분이 컸지만 의무약정에 따른 보조금은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혜택이 돌아가기 때문에 시장 반응이 좋다는 설명이다.

 특히 의무약정제는 기존 고객에게 유리한 제도로 인식되고 있다. 의무약정제 시행 이전에는 번호이동 고객에게 주로 보조금 혜택이 돌아가면서 기존 고객이 소외당했다. 분실, 파손 등으로 인한 피해에도 단말기 보험을 제공하고 다른 가입자인증모듈(USIM) 칩을 꽂으면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등 사전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업계 전략 마련 부심=의무약정제가 정착되면서 업계에서는 향후 시장 전략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현재 의무약정제는 KTF가 최대 24개월까지 약정기간을 설정하는 등 치고 나오는 모양새다. KTF는 의무약정에 대한 거부감을 고려, ‘사용기간 선택제’라고 대체 사용하고 있다. 또 24개월 약정 시 기본 보조금 18만원에 사용 요금별로 요금 할인혜택을 주는 등 강하게 시장을 드라이브하고 있다.

 이에 SKT도 맞대응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12개월인 약정기간을 장기적으로 24개월까지 늘려갈 것을 검토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24개월까지 약관신고가 돼 있는만큼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LGT는 의무약정제 없이 요금할인 등으로 그만큼의 혜택을 주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USIM이 없어 잠금 해제로 인한 가입자 이탈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만큼 제도를 도입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LGT 관계자는 “아직 초기인만큼 단말기 파손 분실로 인한 위약금 등의 문제가 불거지지 않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의무약정제가 소비자의 외면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지혜기자 gotit@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