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모바일 홈페이지 "절반이 먹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주요 공공기관 모바일 사이트 오류 현황

 공공기관이 국민의 정보접근과 민원 편의를 돕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혈세를 들여 앞다퉈 구축해온 모바일 홈페이지 중 절반가량이 사실상 먹통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모바일 홈페이지를 만든 공공기관은 100여곳으로 적게는 수천만원, 많게는 수억원의 예산을 들여 여기에 들어간 돈만 백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애니빌더 등 모바일 솔루션 업계가 공공기관 및 지자체 65곳의 모바일 홈페이지를 분석한 결과 44%인 29곳이 특정 이통사 이용자는 접속할 수 없거나, 메뉴에 연결이 안 되는 등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지난달 24일 검수한 결과에도 모바일주소(WINC)를 등록한 주요 국가기관 99곳 중 이통 3사 모두 또는 특정 이통사에서 접속 자체가 되지 않는 사례도 22곳으로 22%에 이르렀다. 이는 상업적인 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장애율이 10% 미만인 것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수치다.

 국가 공공기관 모바일 사이트에서 장애율이 높게 나타나는 가장 큰 이유는 만든 이후에 후속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 비싼 데이터 이용 요금도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이상준 한국콘텐츠산업연합회 사업전략실장은 “운영이 활성화되면 접속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며 “사이트를 만들고 업그레이드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자체 및 공공기관 대다수가 모바일 사이트를 만든 후 유지보수에는 별다른 예산을 책정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새로운 단말이 출시됐을 때 이에 맞도록 사이트를 개편하거나 장애 발생 시 문제 수정을 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백윤희 종로구청 전산정보팀장은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한 지 3년째지만 이를 위한 단독 예산을 두고 있지는 않다”며 “이용률도 낮은데 예산만 투입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높은 데이터 이용요금 때문에 공공기관이 모바일 사이트 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지 못한다는 점도 활성화의 한계로 지적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클릭 한 번 했는데, 몇천 원씩 요금이 나온다는 소리가 나올까봐 신규 서비스가 나와도 홍보가 어렵다”고 밝혔다.

  이수운기자 per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