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 사업 추진을 위해 수주액 상위의 건설사들이 서너 개 그룹으로 나뉘어 사업 제안서를 작성하는 등 건설 업계 움직임이 분주하다. 총선 이후 대운하 사업 추진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올 만하다. 현재 건설사의 가장 큰 고민은 수익모델 정립이라고 한다. 새 정부의 핵심 공약 사업에 참여를 안 할 수는 없고 참여하자니 전액 민자로 추진하므로 수익모델 제시가 관건인데 실제로 드러난 사업 외형은 수익성이 미지수기 때문이다. 물류나 관광 모두 수익 창출이 불확실하다. 하천 주변의 토지 개발도 우리 하천의 특성상 여유가 많은 것도 아니다. 사정이 이러니 건설사 처지에서는 수익모델 제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에 정보기술(IT) 업체는 건설 업체 비해 느긋한 편이다. 토론회에서 토목 위주의 대운하 건설은 위험하고 IT 기반의 첨단 디지털 운하 건설을 위해 사업 초기부터 IT 업체 참여가 필수고, 나아가 국내 IT 산업 육성에도 기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건설사에 비하면 디지털 대운하 사업의 부담이 덜하다.
물론 건설사도 향후 시설물 유지 관리와 뱃길의 안전성 확보, 관광 산업 등의 유발을 통한 생태문화적 가치를 지닌 운하 개발에 IT가 필수임은 부인하지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수익성이다. 현재 제시된 터널과 스카이라인의 두 옵션 중 어느 것을 택하더라도 최소 15조원에서 16조원의 건설비가 소요된다.
반면에 IT 분야는 아무리 첨단 장비를 도입한들 전체 건설비의 1∼2%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따라서 그 정도 사업비를 차지하는 기술이라면 건설사는 수익성만 좋다면 운하 기술이 좋은 나라와 합작해 기술을 들여오든지 아니면 국내 기술을 활용하든지 큰 문제가 아니다. 전체 사업의 수익성을 찾기 힘든만큼 IT 업체의 동참이나 국내 IT 육성 등은 건설사의 당면 과제는 아니다. 건설사는 국가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IT 업체도 말로만 첨단 디지털 운하를 외칠 것이 아니라 IT 측면의 수익모델 창출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 건설사가 만족은 못하더라도 나름대로 수익모델을 제안한다면 이는 건설 측면의 수익모델과 융합돼 더 큰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그래야 건설사도 IT 기업을 사업초기부터 동반자로 함께할 것이다. 이는 또한 대운하 추진이 국내 IT 산업 육성에 어느 정도 기여할지를 미흡하나마 나름대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서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대운하 사업 추진에 따른 국가 차원의 경제성 분석에도 기여가 크다.
이를 위해 IT 관련 산학연이 결집해 ‘대운하 u-IT 협의체’ 같은 조직을 만들어 △첨단 디지털 운하의 개념 정립과 핵심 요소기술의 정의 △기술 개발과 실용화 전략 △운하 u-IT 표준과 서비스 모형 정립 △지역정보화와 연계된 서비스 극대화 방안 △비용 대 수익 등을 시급히 정리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IT 측면의 수익모델 제시가 가능하다. 기존 u시티 사업 등 관련 자료가 많은만큼 이는 단기간에 정리가 가능하다.
이 점에서 국가 핵심 R&D 기관인 ETRI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미 TF를 만들어 대운하에 IT 활용을 위한 기획을 진행 중인만큼 시야를 넓혀 수익모델을 포함한 IT 분야 전반의 사전 타당성 조사를 이끄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정부에서는 건설분야의 사전 타당성 조사를 지원했으므로 IT 업계도 건설업계와 같이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한목소리를 낸다면 정부 지원은 어렵지 않다. IT 업계가 한목소리를 내지 않는다면 블루오션이 될 수도 있는 디지털 대운하 관련 테스트베드를 사장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토목·기계·조선 위주의 콘크리트 수로를 만들 것인지 아니면 IT·문화·생태가 어우러진 친환경 유비쿼터스 물길로 국토를 다시 태어나게 할 것인지는 건설사가 아닌 IT를 업으로 하는 바로 우리의 노력에 달렸음을 명심해야 한다.
김계현 인하대 지리정보학 교수(kyehyun@inha.ac.kr)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KT 28일 인사·조직개편 유력…슬림화로 AI 시장대응속도 강화
-
2
누적 적설량 최대 47㎝… 한반도 때린 '눈 폭탄' 이유는?
-
3
삼성 '실속형 스마트폰' 갤럭시A16 국내 출시
-
4
네이버멤버십 플러스 가입자, 넷플릭스 무료로 본다
-
5
'깜짝인하' 나선 한은, 기준금리 연 3.00%…15년만 두 달 연속 인하
-
6
K조선 새 먹거리 '美 해군 MRO'
-
7
갤럭시S25 울트라, 제품 영상 유출?… “어떻게 생겼나”
-
8
美 캘리포니아 등 6개주, 내년부터 '전기차 판매 의무화'
-
9
한국은행 디지털화폐(CBDC) 결제 첫 공개…“앱 하나로 3초면 끝나”
-
10
교육부 “연세대 논술 초과모집 인원, 2년후 입시에서 감축”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