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특집]박선원 KAIST산학협력단장 인터뷰

Photo Image

  “경쟁력 있는 대학이라면 단순히 산업 인력만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가를 키워내야 할 것입니다. 빌 게이츠 같은 인물 한 명만 키워낸다면 1인당 GNP 4만달러 실현이 불가능한 현실은 아닐 것입니다”

산학협력이 그다지 이슈화되지 않던 1990년대 말 신기술창업지원단을 세팅한 박선원 KAIST 산학협력단장(60)은 “KAIST의 바람 중 하나가 벤처사업가를 양성하는 일”이라며 나름대로 창업과 산학협력에 대한 식견을 드러냈다.

박 단장은 “KAIST가 초기에는 교수 인력을 주로 만들어 냈다”며 “이제부터는 기업가를 키워내기 위해 매년 20개 기업씩 5년간 총 100개를 만들 계획으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물론 걸림돌이 있어 진도가 잘 안 나간다는 말도 덧붙였다.

“프로그램과 창업 지원계획은 KAIST에서 만들더라도, 일부 예산 등은 정부가 나서 적극 지원해 줘야 할 것입니다. 벤처창업이 워낙 리스크가 크다 보니 최근 학생들도 안정적인 직장을 찾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어, 이에 대한 유인책이 필요한 것이지요”

박 단장은 “이를 뒷받침할 시스템으로 서울에서 운용 중인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대전지역에 만들어 키워야 할 것”이라며 “KAIST도 적극 투자할 테니 대덕특구본부나 정부에서도 나서 집중적인 투자를 해달라”고 요청했다.

집중적인 투자 없이는 매년 20개 기업을 창업하고 대학원 창업프로그램 등을 만들어 진행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다.

“중국 칭화대는 한 번에 3000억원을 투자해 지하철역 근처에 4개의 빌딩을 짓고 대대적으로 기업 육성에 나서는 것을 봤습니다. 대학이 수익도 엄청나게 올리고 있습니다.”

대학의 역할에 대해 중국의 예를 든 박 단장은 “카이스트홀딩스라는 지주회사가 바로 그런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한 것”이라며 “대학이 보유한 국내특허 1500개와 해외특허 500여개를 기본으로 창업자를 물색하고 기업을 보육한다면 다른 어느 기업보다 성공률이 높을 것”으로 판단했다.

KAIST는 자본 대신 회사에 기술을 출자하고 그 기술로 창업자를 찾자는 복안이다. 기술 개발은 KAIST의 학생과 교수가 맡겠다는 것이다.

박 단장은 “KAIST 입주기업 가운데 코스닥 상장 기업이 7개나 되고, 최근 KAIST에 있다가 독립한 골프존은 자산가치가 2500억원이 넘는다”며 “실제로 참여정부나 그 이전 정부에서 각 연구기관과 대학에 창업보육센터를 300개나 만들었지만 코스닥에 진입한 기업은 몇 개 안 된다”고 설명했다.

박 단장은 가장 큰 바람으로 KAIST 동문 창업관 옆 공터 1만5000㎡에 창업 건물을 지어 100개 정도의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