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자펀드 2년간 운용 실적 살펴보니···

Photo Image

 ‘모태펀드 자펀드의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결성 직후를 노려라!’

 최근 본지가 1조원 모태펀드가 활동에 나선 2005년도에 지원해 결성된 벤처펀드(자펀드)의 투자집행 실적을 파악한 결과, 이들의 상당수가 채 2년이 안된 현재 이미 절반 이상을 투자한 것으로 파악됐다.

 벤처캐피털이 투자결정에 최소 수개월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결성과 동시에 검토에 들어간 기업에 상당분의 투자를 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에는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 관리기관)의 관리도 적잖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모태펀드 자펀드는 5년 또는 7년 만기로 결성되며 5년펀드는 3년내, 7년 펀드는 4년내 60%를 의무로 투자해야 한다.

◇2년새 절반 이상 집행=2005년 두 차례에 걸쳐 지원된(결성은 2005년 말∼2006년) 자펀드 17개 가운데 이미 1개 펀드가 해산했으며 나머지 펀드 상당수도 절반 이상 투자가 이뤄졌다. 해산한 펀드는 기업구조조정(CRC)펀드(케이디파트너스)로 1개업체에 전액(100억원)을 투자해 1년 만에 37%의 수익률을 냈다.

 주요 펀드의 집행실적을 보면 2005년 1차에 결성된 스틱세컨더리펀드(1190억원·5년, 이하 결성규모·존속기간)가 75%인 895억원을 집행했으며, 인터베스트바이오펀드(280억원·7년) KIF일신IT펀드(295억원·5년) LG쥬피터11호(300억원·7년) 등도 절반 정도를 집행했다.

 이밖에 국내 최초의 유한회사형(LLC)펀드로 2005년 2차 출자 펀드인 프리미어-기술사업화펀드(500억원·7년)도 12개업체에 240억원을 투자했다.

 조병식 한국벤처투자 펀드운영본부장은 “일각에서 투자가 부진하다고 지적하지만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는데 상당히 앞서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면서 “투자가 부진한 곳에 대해서는 확인을 한다”고 설명했다.

◇주요 투자처=모태펀드 출자 펀드 상당수는 특수 목적펀드로 정부 정책 목적에 따라 결성됐고 그 분야에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조사결과 이들 특수목적펀드는 60%를 훨씬 넘는 높은 비중을 지정분야에 투자했다.

 KIF일신IT펀드의 경우 14개사에 146억원을 집행한 가운데 14곳 모두를 휴대폰부품·인터넷서비스 등 IT업체에 투자했다. 인터베스트바이오펀드 역시 진단장비·시약·환경 등 바이오에 집중했으며, 한화기술금융의 여성전문펀드는 5곳 중 4곳이 여성기업이었다.

 일반펀드는 IT투자가 두드러졌다. 스틱 세컨더리펀드의 경우 2000년 전후 투자한 벤처기업 지분을 인수하기 때문에 IT비중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이 스틱IT측의 설명이다. 프리미어-기술사업화펀드펀드는 12개 투자처 가운데 반도체부품·통신 등이 5개사였으며, LG쥬피터11호도 11개사 투자사중 조선 관련업체 1곳을 제외하곤 대부분 IT였다.

김준배기자@전자신문, joo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