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표준화 주도 vs 시장 무시 발상

 “위피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대안이다.”

 “시장 논리에 맞지 않는 사회주의적 발상이다.”

 위피얼라이언스에 대한 업계의 시선은 위피 활성화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긍정적 시각과 시장 논리를 거스르는 발상이라는 부정적 시각으로 엇갈렸다. 업계 자율 움직임에서 나온 제안이 아니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위피 발전을 논의할 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 게 주체가 없다는 것이다. 표준화기구에 이통사·제조사·솔루션사 등 서로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업체가 참여하다 보니 의사결정이 늦고 추진력도 떨어졌다. 회사마다 표준 외의 규격을 추가 사용해도 제한할 방법이 많지 않았다. 이런 고민 끝에 나온 게 바로 위피얼라이언스다. 위피얼라이언스에서 플랫폼을 독점 개발하고 이를 제조사에 제공하면 표준 호환성을 100%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해외 진출 시에는 강력한 마케팅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이 같은 이유로 비록 소수기는 하지만 위피얼라이언스 설립에 찬성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위피 표준 제정 당시의 목적을 살리려면 강력한 주체가 필요하고 위피얼라이언스가 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보통신부가 위피얼라이언스를 제시한 배경도 다르지 않다. 호환성 미비, 부진한 진화 속도, 해외 진출 등 위피의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강력한 대안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위피 문제가 생길 때마다 정부의 해결을 바라는 업계의 고질적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도 정통부의 법인 설립 의지를 힘을 보탰다.

 문제는 명분과 달리 실현 가능성이나 효율성이 낮을 것이라는 비판이다.

 사실 위피 표준 제정을 주도한 정통부는 그동안 여러 비판에 직면해왔다. 호환성 확보에 큰 진전이 없는데다 문제가 터질 때면 업계 자율만 강조했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무선업계가 함께 사용할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는 것은 상당히 이상적인 아이디어라는 지적도 있었다.

 위피얼라이언스를 보는 시각도 크게 다르지 않다. 위피 활성화라는 명분을 실현하기에는 가장 적합할지 모르지만 실현 가능성이나 효율성 모두 입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위피얼라이언스에 참여할 주체들이 지분과 역할을 나눌 기준이 없다. 일부 솔루션업체는 사업영역을 위협받을 상황에도 처한다. 이통사나 제조사도 서비스나 단말 개발의 자율성을 용인받기 어려워 신기술 개발이 위축될 소지를 안고 있다. 플랫폼 기술을 하향 평준화한다는 우려가 나올 수 있는 이유다. 위피얼라이언스 대안이 나오자 일부 제조사는 국내 사업을 포기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제조사가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국내사업을 위해 플랫폼 전략을 위피얼라이언스에 맡긴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정통부의 제안으로 시작한 위피얼라이언스 설립 논의가 출발부터 장벽에 부딪힌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위피가 국내 무선인터넷 산업에서 갖는 의미는 크며 정통부의 제안 취지 자체는 이해할 수 있으나 이통사·제조사·솔루션업체의 글로벌 비즈니스를 무시한 채 한국형 플랫폼 전략만을 우선시하는 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논의 과정을 지켜봐야 하지만 정부가 시장 논리를 무시한 채 표준화를 밀어붙이는 것에는 무리수가 따른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김태훈기자@전자신문, taehun@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