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자 중심 RFID/USN 활성화 본격 시동

 정부가 수요자 중심의 전자태그/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RFID/USN) 활성화에 시동을 걸었다.

정보통신부는 21일 노준형 장관 주재로 RFID/USN 관련업체 대표와 전문 연구기관장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RFID/USN 확산 및 산업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 정통부는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서 RFID/USN 분야 수요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확산사업의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노준형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RFID/USN의 본격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RFID/USN 도입으로 기업과 소비자 등 수요자들의 중요한 관심사항을 해결해 줄 수 있어야 한다”며 “단순히 바코드 대체를 위해 전자태그와 리더를 설치하는 수준이 아니라 공급망관리(SCM), 업무재설계(BPR) 등과 연계하여 기존 정보시스템과 융합·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활성화 전략으로는 △선도수요 창출 △기술신뢰성 제고 △환경조성 등 3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세부과제로는 서비스 로드맵을 마련하여 기술·표준 등 유관 정책의 상호연계와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고, 시범사업에서 제기된 기술개발 과제의 지원강화와 선도사업의 표준적합성 인증 의무화 등 기존 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주안점을 두기로 했다. 또 시장·기술·표준 등 관련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정책과제의 상호연계 및 추진상황 점검을 위해 정통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략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어 정통부는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서 RFID/USN 확산사업의 본격적인 구축을 위해 ‘RFID/USN 확산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올해 구축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RFID/USN 확산사업 16개 과제들은 정통부가 지난 2004년부터 추진한 시범사업 중 우수 과제들로, 향후 본격·확산시 공공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관련 산업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들이다. 권건호기자@전자신문, wingh1@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