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 15위권 생물자원정보화 국가로 발돋움

Photo Image
국가자연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찾은 배추흰나비. 계룡산에서 채집돼 일본의 항암제 개발에 쓰였다.

‘IT가 생물자원 주권을 견인한다.’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등록한 우리나라의 생물자원 수가 128만5365건을 기록, 지난 2001년 산림청이 국제 생물정보학(바이오인포매틱스)계에 얼굴을 내밀기 시작한 지 6년여 만에 세계 15위권으로 발돋움했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52만2790건으로 23위를 기록한 일본을 앞질러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미국 3791만2168건(1위), 영국 1653만1557건(2위) 등 생명정보학 선진국에는 크게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박사는 7일 “생물자원을 이용한 신약개발 등과 관련해 자원 원산지로부터 이익분배 요구가 늘어나는 등 지적재산권 확보 여부가 날로 중요해진다”며 “국내 생물자원 약 130만건을 GBIF에 등재함으로써 국가 이미지를 높이고, 미래 생명정보산업(BIT) 발전 토대를 굳게 다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 박사는 또 “IT를 바탕으로 국내 생물자원 주권을 확보함에 따라 세계생물다양성협약(CBD) 이행에 대비한 국가간 배타적 생물자원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통부는 지난 2001년부터 약 100억원을 지원해 과학기술부 국립중앙과학관, 산림청,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등 58개 기관의 데이터베이스(DB)에 담긴 국가생물자원정보 1만1000종 128만여건을 모아 GBIF에 등록했다. 국가지식포털(http://www.knowledge.go.kr)을 비롯한 국가자연사종합정보시스템(http://naris.science.go.kr), GBIF시스템(http://ge.gbif.net), ‘구글 어쓰(google earth)’ 등에서 일반인 누구나 정보를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다.

백운기 박사는 “일본에서 배추흰나비 체액을 항암제로 개발했는데, 우리나라 계룡산에서 채취한 생물자원”이라며 “국내 생물자원 검색·활용체계가 지적재산권 확보, 신약 및 첨단생물소재 등 BIT의 쌀과 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