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지상파DMB](하)`대안 없는` 대안 찾기

 “세계에서 휴대이동방송(모바일TV)을 우리처럼 무료 보편적 서비스로 제공하려는 나라는 한 군데도 없다.”

 지상파방송사 관계자의 지적이다. 지상파DMB 사업자는 물론이고 지상파DMB 관련 솔루션 업체도 해외의 이런 상황에 동조한다. 유일하게 일본이 ‘원세그’를 무료로 제공하지만 이는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재송신’일 뿐이다. 즉 디지털 지상파방송과 똑같은 방송 콘텐츠(광고 포함)를 그대로 내보낼 뿐이어서 별도의 수익모델 고민이 덜하다.

 지상파DMB의 유료화를 주장하는 배경에는 이 같은 ‘무료 보편적인 서비스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논리가 있다. 그렇지만 이는 대안이 될 수 없다. 지상파방송사의 관계자는 “사실 유료화는 힘들다”고 말했다.

 이미 휴대이동방송 도입 시 정책 기조로 ‘유료=위성DMB, 무료=지상파DMB’라는 틀을 유지했을 뿐더러 그 후의 정책도 이런 기조에서 나왔다. ‘무료’로 휴대이동방송을 맛보기 위해 벌써 170만 소비자가 단말기를 구매했다. 또 유료화는 KBS·MBC·SBS 등 지상파방송사를 위한 정책 변경이라는 함정도 내포돼 있다. 따라서 지상파DMB의 수익모델 부재와 좌초 위기에 대한 ‘대안(=유료화)’은 없는 셈이다.

 ‘대안 없는’ 대안 찾기에 부심해야 하는 상황이다. 돌파구로 제시된 게 양방향데이터방송규격(BiFS)과 교통정보서비스(TPEG)다. 방송을 유료화할 수 없다면 새 부가서비스로 수익모델을 창출해야 한다.

 BiFS는 지상파DMB의 양방향 부가서비스를 할 수 있는 틀로서, 지상파DMB를 보던 시청자가 드라마의 줄거리나 주제가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BiFS는 지상파DMB와 이동통신사업자의 무선인터넷을 연결시켜, 시청자가 이른바 ‘지상파DMB용 무선인터넷’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TPEG는 소비자가 돈을 주고 수용할 수 있을 서비스로 주목받았다. 지상파DMB로 도로교통 정보를 제공하면 이의 대가로 월정액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또 TPEG를 이용할 수 있는 지상파DMB 단말기를 판매할 때 일정 금액을 덧붙이는 방안도 검토 가능하다.

 그러나 BiFS와 TPEG는 현재로선 요원하다. BiFS는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보급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오히려 지상파DMB사업자가 BiFS 신호를 송출하면 기존의 BiFS 미지원 단말기가 오작동하는 문제까지 제기된다. TPEG는 사업자 간 규격 확정 문제로 난항을 겪다가 결국 서비스 개시가 내년 이후로 무기한 연기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BiFS나 TPEG가 제대로 진행된다고 해도 이런 부가서비스가 지상파DMB를 지탱할 만큼 수익을 내줄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지상파DMB의 생존을 위한 법·제도 개선 요구가 차선책으로 불거지는 형국이다. 규제 완화에 대한 요구다. 이를 테면 중간광고 허용이 한 가지다. 또 데이터방송을 통한 양방향 광고를 허용하는 법 체계와 데이터방송 유료화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에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에서 지상파DMB가 최소한 생존을 지탱할 수 있는 수준까지 정책적으로 광고 수익을 보장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커버리지 문제 해결을 위한 송출력 증강도 지상파DMB 생존을 위한 환경조성 요건으로 제기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상파DMB 자체에 대한 살리기 운동에 몰입할 게 아니라 새로운 휴대이동방송 정책 틀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한다.

 13일 국회의 국정감사가 시작된다. ‘대안 없는’ 대안 찾기의 첫 고민의 장은 이번 국감이 될 전망이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