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시범사업 실리·명문 `물밑 저울질`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IPTV 시장규모 전망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함께 벌일 IPTV 시범사업이 11일 정식 공고됨에 따라 사업 참여 방식을 두고 통신 및 방송계의 물밑 작업이 구체화되고 있다. 통신 및 방송계는 오는 29일까지 유관 사업자들끼리 컨소시엄을 구성해 시범사업 참여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정부가 앞장서 IPTV에 대한 활로를 뚫어보자는 의도지만, 오랫동안 이해관계가 엇갈려온 통신과 방송계에서는 컨소시엄 구성 과정에서 사업 참여의 실리와 명분을 두고 저울질이 한창이다. 사업자 간 컨소시엄 구성은 △통신·방송 간 그랜드 컨소시엄 구성 가능성 △비KT 통신 사업자의 KT 네트워크 활용 허용 여부 △케이블TV사업자(SO)의 사업 참여 △실시간 지상파 재전송의 네 가지가 최대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이래 저래 KT 우위=“지상파 방송사의 참여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의중이다”(KT). “독자적으로 하려면 2∼3개월의 준비가 필요한데 결국 통신사업자의 인프라를 활용하는 수밖에 없지 않겠나”(A지상파방송사). “KT 플랫폼이 안정성 등 여러 면에서 앞서는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IPTV사업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몰아가는 게 중요하다면 KT는 열린 시각으로 타 통신사를 수용해야 한다”(B통신사).

 이 같은 대화들은 이번 시범사업에서 역시 유리한 고지는 KT가 차지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지금 당장 IPTV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플랫폼·셋톱박스·네트워크 3박자를 갖춘 곳은 현재로서는 KT가 유일하기 때문. 이 때문에 일부에서 예상하는 지상파 방송사 주도의, 즉 통신사업자가 네트워크만 제공하는 형태의 컨소시엄 구성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신 업계에서는 지상파 방송사는 물론이고 주요 통신사가 참여하는 그랜드 컨소시엄 구성을 점친다. 이 경우 지역 분할 서비스의 가능성이 크다. 즉 컨소시엄은 전체가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하되, 시범 서비스 지역이 난시청 및 전국단위를 커버해야 하는만큼 사업자들이 지역을 분할해 서비스를 분담하는 형식이다.

 ◇SO 참여 가능할까=지상파 방송사의 독자 컨소시엄이 불가능해지는 대신 오히려 SO 주도의 컨소시엄 출현 가능성도 점쳐진다.

 오광성 케이블TV방송협의회장은 “협의회 산하의 기술분과위원회·마케팅분과위원회 등에서 실무 논의를 진행중이며, 조만간 회원사 견해를 수렴할 것”이라고 말해 참여 여부를 검토하고 있음을 밝혔다.

 SO 측은 정통부와 방송위에 ‘동축케이블(HFC)망에서 ‘닥시스3.0’을 구현해야 하는지 등 시범서비스의 기술 조건을 명확하게 해달라는 내용의 질문을 보낸 상태다.

 문제는 시범사업에 들여야 할 투자비다. 정부의 지원 자금은 최대 5억∼8억원이다. 플랫폼 구축 등에 최소 수십억원의 추가비용이 예상되는 마당에 시범사업 참여 여부를 놓고 이견이 있을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게다가 궁극적으로 경쟁관계가 될 IPTV 사업에 대한 기술 및 서비스 검증에 동참할 필요가 있느냐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어쨌든 SO업계는 오는 22일께 ‘SO 대표자 회의’ 및 비상총회 형식을 빌려 참여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시범사업 백미는 ‘실시간’ 지상파 전송=컨소시엄 구성은 예상보다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 전망이다. 문제는 오히려 IPTV 핵심 논제였던 실시간 방송 여부다.

 이와 관련해 정통부 측은 “지상파 콘텐츠를 실시간 전송하지 않는다면 광대역융합망(BcN) 시범사업과 다를 바가 없는데 굳이 시범사업에 나설 이유가 없다”는 말로 지상파 실시간 전송이 당연한 전제임을 밝혔다.

 그러나 방송사들은 여전히 한 걸음 물러나 있다. 한 관계자는 “실시간 방송을 포함할지 VOD 수준까지만 할지는 아직 모른다”며 “지상파 방송사도 다들 조금씩 의견이 다른만큼 좀 더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결국 이번 시범사업의 열쇠는 아직도 관망중인 지상파 방송사들의 적극성, 특히 실시간 방송에 대한 방송사 측의 인식 전환에 달려 있는 셈이다.

신혜선·성호철기자@전자신문, shinhs·hcsu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