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이곳`](3)소방방재청 시도 긴급구조 표준시스템 구축사업

Photo Image
서울종합방재센터 종합관제센터에서 소방공무원들이 상황판을 주시하며 응급사고 접수를 받고 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긴급구조시스템 구축 효과

불과 수년 전만해도 만우절만 되면 각 소방서에는 비상이 걸리곤 했다. 매년 이날을 전후해 허위신고, 즉 장난전화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998년 한 해 서울 소방방재본부에 접수된 허위신고 건수는 총 248만 건에 달했다. 이는 전체 신고건수의 절반이 넘는 61.7%에 달하는 비율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소방방재본부에 걸려오는 장난전화는 거의 없다시피 한다. 작년에 접수된 장난전화 건수는 5562건으로 전체 신고건수 대비 0.22%에 그쳤다. 지난 2000년 서울시에 구축된 ‘긴급구조시스템’ 덕분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전화 신고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해지면서 장난전화 건수가 급속 감소한 것이다.

 긴급구조시스템은 소방·방재 분야에 혁신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관할 소방서별로 개별 접수되던 신고전화는 이 시스템 도입 이후 119상황실로 통합돼 화재는 32초, 구조와 구급은 각각 5초와 15초씩 단축됐다. 생사를 달리 할 수 있는 시간이다. 특히 접수된 신고건을 놓고 벌어지던 관할 다툼이 없어지면서 소방력의 활용이 극대화됐다.

 소방공무원들의 일하는 방식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시도 소방본부 중심의 통합재난상황관리와 지휘통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시스템 구축 이후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량위치관리로 출동대가 실시간 자동 편성된다. 또 소방대상물, 장비, 소방용수 등 각종 소방자원이 지리정보시스템(GIS) 등 전산DB를 활용해 조회와 검색이 가능해져 현장대응 시간도 대폭 단축됐다.<표1 참조>

 행정자치부는 작년초 국가 재난관리 BPR/ISP 작업을 시작으로 이 사업을 전자정부 과제화시켰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챙기겠다는 의지다. 지자체별 각개 구축으로는 전국적으로 일원화된 재난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김기룡 소방방재청 소방령은 “소액의 지자체 예산으로 추진하다 보니 신규사업 규모가 작고, 유지·보수비용도 빠듯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종합방재센터의 긴급구조시스템 역시 현재 이중화가 안 돼 있는 것은 물론, 서버 등 각종 전산장비도 7∼8년된 노후 장비가 대다수다.

 따라서 행자부는 전자정부 사업을 통해 긴급구조시스템의 고도화와 함께 각 시도 확대 보급과 통합·연계 작업을 중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표2 참조>

 소방방재청은 60억원의 전자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오는 9월 완료를 목표로 현재 LG CNS와 함께 ‘제1차 긴급구조 표준시스템구축 사업’을 진행중이다. 이달 중에는 36억원 규모의 2차 사업을 발주한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