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 세계로 가자]현안과 과제-투자부족... 기술경쟁력 정체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가별 세계 상위 엔지니어링 매출액 현황

 “기술개발 투자가 저조한 나머지 기술경쟁력 정체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엔지니어링 기업의 대형화, 전문화가 세계적 추세인 반면 우리나라는 대형 선도기업이 없습니다. 중소업체들도 전문화보다 수주에 유리한 형태로 난립하고 있습니다.”

 “고급인력이 부족하고 전문인력 육성·관리체계도 미흡합니다.”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계 관계자들에게 ‘현황’을 물었는데 ‘문제점’들이 쏟아졌다. 그들은 “날로 빨라지는 정보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도 큰 문제”라고 스스로 진단했다. 해결해야 할 문제의 끝에는 “해외 엔지니어링사업 수주 경쟁력이 열악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해외 시장 개척에 적극적인 S사 관계자는 “정부의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이 보다 직접적인 지원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해외사업전담기구를 만들어 지원하고, 해외건설사업에서 실패했을 때 보조금을 지원하라는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건설사업 참여업체의 법인세를 면제해주는 것과 같은 혜택이 필요하다고까지 주장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정부가 직접적으로 기업에 자금을 대거나 세제혜택을 주는 것은 국제 통상마찰 소지가 있어 어렵다”며 “엔지니어링 기반 구축 지원, 인력 양성 등 간접적이나 효과가 큰 정책들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과학기술부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정부·학계·업계 전문가들 20명이 참여하는 (가칭)엔지니어링발전민관합동위원회를 만들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가 추진하는 엔지니어링 관련 정책을 범부처적으로 연계·조정할 방침이다.

 또 전기전자, 정보통신 등 15개 분야 93개 엔지니어링 기술영역별로 기술연구회를 구성해 기반을 튼튼하게 다지는 밑거름으로 삼기로 했다. 산업계와 시장 현실에 맞춰 엔지니어링 산업분류를 변경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과기부는 직원 20인 이하 소규모 엔지니어링 기업이 77%에 달하는 국내 현실을 감안, 중소기업의 공동 연구개발과 외국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터전(엔지니어링지식집약단지)도 조성할 계획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산·학·연이 공동으로 이른 시일내에 ‘국가엔지니어링기술지도(TRM)’를 만들어 체계적 기술개발을 추진할 것”이라며 “TRM을 산업자원부의 플랜트산업 기술개발 로드맵과 연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