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7회 벤처 포럼]벤처투자 재원의 효율적 구성방안

Photo Image
전자신문사와 벤처포럼운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는 제47회 벤처포럼이 ‘벤처투자 재원의 효율적 구성방안’이란 주제로 지난주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이철상 브이케이 대표는 회사 설립이후의 펀딩사례와 문제점 등을 상세히 소개해 관심을 모았다.

주제: 벤처투자 재원의 효율적 구성방안

주최: 전자신문·벤처포럼운영위원회

전자신문과 벤처포럼운영위원회는 지난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벤처투자 재원의 효율적 구성방안’이란 주제로 제47회 벤처포럼을 개최했다. 고정석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이 ‘한국 벤처캐피털 시장’이란 주제발표로 시작된 이날 포럼에서 정영태 중기청 창업벤처국장과 이남형 기술신보 이사는 정부의 벤처기업 자금 지원방안을 발표했으며 또 성공 벤처사업가인 브이케이 이철상 대표는 벤처의 효율적인 펀딩 방안을 경험을 토대로 공개했다. 이날 발표 및 토론 내용을 정리한다.

<참석자>

-고정석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

-이남형 기술보증기금 이사

-이철상 브이케이 대표

-정영태 중소기업청 창업벤처국장

(가나다순)

-사회: 배재광 ATG 대표

◇사회(배재광 ATG 대표)=정부가 벤처 붐을 다시 조성하는 데 있어 벤처캐피털에 상당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정부의 벤처캐피털을 통한 벤처산업 활성화 정책을 들어본다.

◇정영태(중기청 창업벤처국장)=참여정부의 벤처캐피털 정책은 정부 주도의 직접 투자방식에서 민간 중심의 시장친화적 간접투자 방식으로 바뀌었다. 또 투자 행위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자율성을 대폭 높였으며 대신 투자에 대한 책임을 묻도록 했다.

정부는 지난해와 올해 모두 4차례에 걸쳐 벤처와 벤처캐피털 산업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다. 대표적인 것이 모태펀드 시스템이다. 모태펀드를 통해 간접투자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모태펀드 재원은 2009년까지 9800억원 정도가 이미 확보됐다. 1조 재원이 거의 마련된 셈이다. 또 내년 상반기중에는 유한회사(LLC)형 투자 기업 모델을 탄생시킬 계획이다. 시장에서도 유한회사형 투자조합과 창투형 모델 중 어느것이 유용한가를 직접 평가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남형(기술보증기금 이사)=기보는 혁신형 초기벤처기업을 집중 지원해 벤처산업 부흥기반 제공에 나서고 있다. 올해 경기회복 촉진, 성장동력 창출, 혁신선도형 중소기업 중점지원을 위해 11조원의 보증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우수기술 보유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혁신선도형 중소기업을 중점 지원한다. 이를 위해 평가를 재무현황보다는 기술성·사업성 등 미래가치 위주로 실시중이다.

◇사회=정부의 벤처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당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벤처기업의 목소리를 들을 차례다.

◇이철상(브이케이 대표)=설립 이후 현재까지 3단계에 걸쳐 벤처자금을 유치했다. 초기 설립단계에서는 주변 아는 사람들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주로 일년정도의 시간을 이런 과정에서 보내게 되고 그러다 보면 좀더 체계적인 평가와 자금지원을 받게 된다. 이것이 두 번째 단계인 벤처인증과 더불어 전문 투자기관으로부터의 자금 투자다. 브이케이 경우 기은캐피탈의 10억원 투자는 생산라인을 늘리고 본격적인 기업활동을 전개하는 원동력이 됐다. 보통 벤처캐피털의 투자를 받게 되면 동시에 은행으로부터 거의 비슷한 액수의 시설자금을 대출받을 수 있다. 이후의 경영이 성과를 낸다면 마지막 단계라고 볼 수 있는 공개자금시장에서 자금을 유치하게 된다.

◇사회=정부의 앞으로의 계획, 그리고 벤처기업들이 펀딩시 희망하는 사항들도 논의돼야 할 것 같다.

◇정영태=벤처캐피털 선진화 작업을 계속 펼쳐 나갈 것이다. 그동안 벤처캐피털업체들이 벤처기업의 경영과 재무 구조를 주로 봤다면 앞으로는 기술을 이해하는 업체들이 포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대학·연구소와 벤처캐피털들이 만남의 장을 열어줄 것이다. 서로 배우고 공유하며 벤처캐피털의 역량을 키우도록 유도하겠다.

벤처캐피털의 전문화에도 앞장설 것이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모든 영역을 취급하는데 이는 경쟁력에 한계를 드러낸다. 각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이 주요 분야를 정해서 진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 대학의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을 벤처캐피털업체들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남형=정부의 벤처투자 활성화 정책에 맞춰 자본이득 공유제 활성화에 나선다. 자본이득 공유제는 기금과 협약이 체결된 은행·창투사 등이 인수하는 벤처기업 발행 전환사채에 대해 기금이 부분보증하고 자본이득의 일부를 출연받는 것이다. 창업·벤처기업 위주로 투자조합이 벤처투자의 핵심 원천으로 부각되고 있고 정부도 재정자금 지원을 통해 투자조합 결성을 추진할 것이다.

보증연계투자 상품도 만든다. 기술성 및 사업성이 우수한 창업 초기 혁신 선도형 중소기업이 신용보증을 신청시 보증과 연계해 투자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현재 기획단계로 투자대상기업과 벤처캐피털 등 투자자간 만남의 장을 마련해 기술과 자본의 연결도 모색한다.

◇정영태=투자의 저변 확충에도 나설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기금의 벤처투자 시장으로의 확대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벤처캐피털의 선진화를 통해 신뢰를 얻은 다음 각종 여유자금이 벤처시장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정부는 규제를 풀어줄 만큼 풀어줬다고 본다. 앞으로는 시장에서 선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가를 할 것이며 이 결과에 따라 지원을 달리할 계획이다.

◇서학수(바이넥스트 상무)=정부의 벤처캐피털 평가에 있어 구주 투자를 많이 할 경우 감점이 되도록 했다. 벤처캐피털업체가 다른 벤처캐피털업체 또는 자사의 구주를 사는 것을 인정할 수는 없는가.

◇정영태=구주와 신주의 투자비율이 적정해야 한다고 본다. 구주투자에 대한 배점 비율을 크지 않게 돼 있다. 이 분야가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

◇이철상=파이낸싱 과정에서 중요하게 느낀 점이 여럿 있다. 먼저 벤처투자 단계에서 전문인력에 의한 체계화 되고 현장위주의 투자평가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이는 투자자에게는 이익을 낼 수 있는 확률이 떨어지게 하고 기업은 제대로 평가를 못 받아 좋은 기술이 사장되거나 제때에 시설투자를 못하여서 시장경쟁에 뒤처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공개자금시장이 많이 왜곡돼 있다는 점도 아쉽다. 코스닥에 등록하고 나면 대개 일반기업으로 분류돼 비전문가들로 구성된 시장에서 주식수급논리에 지배받는다. 일부 인기종목을 제외한 기업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보고서가 전혀 없고 그러다 보니 다수의 시장참여자가 그때 그때 수급상황에 따라 주식거래를 하게 돼 정확한 투자의 근거를 확보하기 힘들다. 향후에는 벤처캐피털리스트가 마치 코스닥 등록 전 단계에서 투자를 위한 분석보고서를 작성하듯이 모든 코스닥 기업들에 대해서도 관련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지고 유통되어야 할 것이다.

정리=김준배기자@전자신문, joon@

◆주제발표-고정석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한국의 벤처캐피털 시장)

한국 벤처캐피털의 투자재원을 보면 2000년에는 회사계정과 조합계정이 각각 2조1390억원과 4조4980억원으로 약 1대2 정도를 나타냈으나 올해는 7월말 기준으로 회사계정이 1조6220억원, 조합계정 5조2880억원으로 조합계정이 월등히 늘었다. 조합 출자자별 구성비는 지난해 기준으로 정부가 31.1%로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가 연·기금으로 15.5%, 기관투자자와 벤처캐피털이 각각 14.7%와 14.4%였다. 연·기금 비중이 높은 것은 국민연금관리공단이 2002년부터 벤처투자에 본격 나선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

벤처캐피털의 신규투자 실적은 2000년 2조원 이후 2001년 8893억원, 2002년 6167억원, 2003년 6118억원, 2004년 5639억원으로 매년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올해는 다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올 7월 말 기준 벤처캐피털 신규투자 실적은 약 3174억원이다.

업력별로는 3∼7년이 62.5%로 가장 많고 7년 초과 21.4%, 3년 이하가 16%다. 초기기업 비중이 낮은 것은 역시 벤처펀드 대부분이 5년 만기로 초기 기업에 투자시 코스닥 등록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기업들이 등록까지 평균 걸리는 기간이 무려 9.2년이다.

벤처캐피털업계의 가장 큰 현안은 무엇보다 안정적 재원확보를 꼽을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출자자 대부분이 벤처시장에 상관없이 장기·안정적으로 꾸준히 출자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정부, 창업투자회사, 연·기금 정도가 안정적 재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연·기금의 출자비중이 미국은 40% 이상이나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15%에 그치고 있다. 장기적인 투자재원으로 연·기금 및 기관투자자의 출자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투자조합의 존속기간도 미국처럼 10년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는 대개 5년이다. 기업공개(IPO) 소요연수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존속기간내에 회수를 하기 위해서는 투자가 초기기업보다는 업력이 있는 기업에 편중돼 있다. 벤처캐피털의 자금 회수수단이 IPO에 집중되지 않고 M&A(인수합병), 세컨더리마켓(구주거래 시장) 등 다양화될 필요도 있다.

이같은 현안을 개선하기 위해 벤처캐피털 투자와 융자형 정책자금을 연계하는 투·융자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으로 산업자원부가 시행중인 ‘부품·소재 기술개발사업’과 중소기업청의 ‘창업자금 벤처캐피털 투자연계 지원방안’ 등이 있다. 이를 벤치마킹해 정책자금의 일정부분을 벤처캐피털 투자와 연계하는 프로그램이 확대돼야 한다. 이와 함께 벤처금융기관의 벤처펀드 출자 확대도 요구된다.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은행과 벤처캐피털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즉 금융기관은 벤처캐피털과 보완관계로 성장단계 기업보다는 초기 기업에 지원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jskoh@iic.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