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 실버 시장 `급팽창`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65세 이상 노인 인구 증가 추이

 산업자원부는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피할 수 없는 고령사회를 산업으로 연계해 발전시킬 수 있는 ‘고령친화산업진흥법’ 제정을 추진중이다. 또 산자부는 고령산업을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했다.

 ◇IT수요 촉발 계기 될 듯=고령친화산업은 요양·기기·정보·여가·금융·주택·한방·농업·교육·교통·식품·장묘·의류 등 13대 산업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건강관련 산업은 IT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재택·원격진단 및 휴대형 다기능 건강정보시스템, 의료기기, 실내외 이동지원시스템 등의 수요가 폭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홈케어, 정보통신 보조기기, 노인용콘텐츠 시장도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고령친화산업은 세분화된 중소형 시장으로 다품종 소량 생산이 주류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보건·의료·복지·주거·여가·기기가 융합된 원스톱서비스가 각광받을 전망이다. 시장 역시 충분하다. 2007년 노인요양보장제도가 도입돼 65세 이상 최중증 노인성질환자 7만2000명을 대상으로 요양서비스가 지원된다. 2010년까지 14만7000명으로 지원이 확대된다. 또 2008년부터는 전국민이 연금급여 대상으로 고령생활과 건강에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이 확실시된다.

 ◇산업화 초기 정부가 주도적 역할=베이비붐 세대(53∼65년, 약 1000만명)의 은퇴가 시작되는 2010년까지 3단계로 육성된다. 올해부터 5년간 2457억원이 투입돼 인프라 확충, 핵심전략품목 기술개발, 클러스터 구축 및 산업화지원센터, 종합체험서비스 사업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표 참조

 올해 부산 테크노파크에 고령친화용품 산업화지원센터를 구축하고 내년에 실생활과 유사한 체험관을 조성한다. 안마기, 휴대형 전자의료기기 및 고령친화상품·서비스 체험을 통해 수요를 가시화하고 고령자의 선호도 및 정보를 조사해 신규서비스 창출에 활용할 예정이다.

 산업화 초기에는 정부가 주도적 역할을 함으로써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점차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 키워나간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산자부가 지원하는 사업화연계기술개발지원제(R&BD 프로그램)를 접합할 경우 고령친화산업을 선도기술 산업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 산자부의 복안이다.

 ◇시장전망은 밝다=신용섭 생활산업국장은 “고령친화산업의 시장은 앞으로 계속 확대되는 유망시장”이라며 “현재 일본이 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지만 IT기술에서 앞선 우리나라가 주력할 경우 일본을 앞지를 가능성이 매우 큰 산업”이라고 말했다. 고령화는 전세계적인 추세고 경제력이 있는 인구다. 일본과 미국은 각각 ‘노인복지 로드맵’과 ‘노인복지법’을 제정해 고령친화산업의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다. 일본은 지난 2001년 시장 규모가 39조엔에 이르렀으며 2025년에는 155조엔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 역시 고령친화산업의 80% 이상을 민간기업이 주도하며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경우기자@전자신문, kwle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