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재봉의 영화사냥]친절한 금자씨

박찬욱 감독의 복수 3부작 마지막 편인 ‘친절한 금자씨’는 유아 유괴살해범으로 13년 동안 복역한 금자가 출소하면서부터 시작된다. 박찬욱 감독은 결국 복수란 무의미하다는 것을, 모든 죄의 근원은 자기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대중 관객의 입장에서 ‘친절한 금자씨’는 친절하지 않다. 왜냐하면, 시간의 선형적 구조 아래서 사건이 전개되는 게 아니라, 금자가 왜 복수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과거의 사건들이 그 사이에 파편적으로 박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금자의 복수를 도와주는 감방 동료들에 대한 사연들도 금자가 각각 그들을 만날 때마다 역시 파편적으로 등장한다.

이런 서사구조는 친절한 것이 아니다. 각각의 작은 이야기들이 만나 큰 줄기를 이루며 도도하게 흘러가는 대중적 서사구조와는 다르게 관객들은 계속 심리적 브레이크를 밟을 수밖에 없다. 이야기는 금자의 복수를 향해 앞으로 진전되지만 그러나 마지막 목표물인 백선생을 향해 내달리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멈칫거린다.

따라서 금자의 복수에 감정 이입되어 그녀와 함께 복수에 기꺼이 동참하고 싶은 대중들의 욕구는 철저히 배반당할 수밖에 없다. 박찬욱 감독은 서사의 수직적 구조를 무참하게 풀어헤쳐버린다.

금자는 출소 후 이미 13년 전부터 치밀하게 계획한 복수를 차질 없이 진행시켜 나가지만, 관객들은 그녀의 내면과 동일화되어 금자를 유아 유괴살해범으로 만든 백선생을 증오하는 대신, 제 3자의 객관적 시점으로 금자를 바라보게 된다.

박찬욱 감독이 서사의 파편화에 따른 관객들과의 거리두기, 즉 브레히트식의 이화효과를 도입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는 복수 3부작을 마치면서 관객들로 하여금 복수에 대해, 죄의 근원에 대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영화에서 가장 훌륭한 발언은 서사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다. 박찬욱 감독이 그것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금자의 복수를 둘러싼 이 상황, 그녀가 고등학교 시절 임신을 했고 집을 나와 아이를 낳을 공간이 필요했으며, 교생으로 왔다가 금자를 보고 섹시하다고 말한 백선생에게 전화해서 찾아가겠다고 말한 뒤 아이를 낳아 기르다가, 유아 유괴범인 백선생이 아이를 죽이겠다는 협박으로 자신이 범인이라고 자수하고 감옥에 수감되기까지의 과정과, 복수를 계획한 금자가 그 뒤 감옥 안에서 어떻게 동료들의 신임을 얻으며 친절한 금자씨가 되었는지의 출소 이전 과거는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다.

대신, 파편적 서사 전개로 구성되어 있는 이야기 구조는, 금자의 복수를 둘러싼 이 상황을 관객들이 객관적으로, 이성적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끔 거리를 두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마지막 집단적 복수의 시퀀스는, 한국 영화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상황을 연출한다. 서사극이나 부조리극의 한 장면처럼, 아이를 잃은 부모들이 모여 그 범인에게 집단 복수를 꾀하는 이야기는, 기묘하고 낯설며 사회 일반의 도덕적 범례와 충돌한다.

일상적 삶의 법칙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집단 복수 시퀀스는 가학과 피학으로 얼룩진 상처 많은 한국 현대사의 핵심과 만나며, 그것이 개인적인 사적 복수이든 사회적인 공적 복수이든, 깊은 울림을 갖고 있다. 관객은 이물질을 씹은 것처럼 그 낯선 현장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외면하며 밖으로 뛰쳐나가지도 못한다.

‘친절한 금자씨’는 대부분 ‘올드보이’와는 다르게 세트 촬영을 피하고 야외 로케를 통해 찍었으며 미장센에 대한 감독의 열망은 빼어난 미적 쾌감을 선사할만큼 미학적으로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영애는 복수를 향해 한 발자국씩 전진하는 금자의 내면을 놀라운 연기력으로 표현하고 있다.

<영화 평론가·인하대 겸임교수 s2jazz@hanmail.net>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