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 3사, 지재권 `단속`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통화연결음, 유무선 통합포털 서비스 등 모바일 신서비스에 대한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11일 SKT, KTF, LGT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처음 도입한 모바일 서비스들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서비스 기술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에 따라 사내 법무팀을 강화하고 지적재산권 보호 및 활용 전략을 세우고 있다.

SK텔레콤(대표 김신배)은 최근 지적재산권 법률 분쟁을 담당하는 법무팀과는 별도로 전략기술부문 산하에 지적재산권 전문가팀을 꾸려 사업화에 나섰다.

이 팀은 신규 부가서비스에 대해 지적재산권 확보와 이를 통한 사업화를 추진하게 된다.

이명성 전략기술부문장(전무)은 “비즈니스 모델만으로는 재산권 보호를 받기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 모델과 솔루션, 관련 기술을 패키지로 묶어 신규 서비스의 재산권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이 전무는 “컬러링의 경우 우리가 가장 먼저 서비스했지만 이를 통한 지적재산권 판매 수익을 전혀 얻지 못했다”며 “컬러링의 경우 해외사업들에게 이용자별로 한달 일정액의 지재권 이용료만 받아도 수천억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사업방안을 임원회의에서 깊게 논의하고 추진을 본격화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김신배 사장도 고려대 강연에서 “컬러링과 같은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도 법적권리를 보호받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지적재산권 보호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KTF(대표 조영주)도 조 사장 체제 돌입에 따른 조직개편 과정에서 윤리경영실내에 지적재산권팀을 신설했다. 신설된 팀은 KTF가 신규 개발한 부가서비스의 특허권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팀은 내부 법률 전문인력으로 구성됐다.

KTF측은 “신개념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는 가운데 특허권이나 비즈니스 모델 보호가 중요시 되기 때문에 지적재산권팀을 신설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LGT(대표 남용) 측도 법무팀을 통해 부가서비스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고 이를 통한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동통신 시장의 부가서비스는 이통사는 물론 중소 협력사들이 경쟁적으로 제안하면서 도입되는 것이 보통이나 워낙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비즈니스 모델의 보호가 미흡한데다 동일 서비스라도 구현 기술이 다양해 법률 분쟁이 끊이지 않고 제대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서비스 모델 뿐 아니라 기술·솔루션을 포함해 지적재산권을 보호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용석기자@전자신문, ysk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