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1호` 2009년까지 버틸듯

 지난 99년 국내 최초로 발사된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의 수명은 언제 다할까.

 30일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예상 수명연한인 2002년을 2년 이상 넘겼지만 현재까지의 추진체 연료소모 상태로 봐서는 적어도 오는 2009년까지는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애초 계획보다 7년 가까이 수명 연장이 가능한 이유는 뭘까.

 이에 대해 항우연 우주응용센터측은 △아리랑 1호에 탑재돼 있는 위성연료추진체 연료(하이드로진) 사용의 최소화 △위성 운전의 노하우 축적 △위성 설계시 최악의 조건을 감안한 견고한 설계 등을 꼽고 있다.

 실제 아리랑 1호는 3∼4개월에 한번 꼴로 우주공간에서 위성이 정상 궤도를 이탈할 경우에만 추진 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65% 이상의 연료가 남아있다.

 이대로라면 적어도 발사 10년째를 맞는 오는 2009년까지는 그런 대로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는 조심스런 관측이다.

 우주응용센터 안상일 연구원은 “기본 구조가 워낙 잘 설계돼 향후 2∼4년은 거뜬할 것으로 예측한다”며 “연료가 고갈돼 가는 상태에 따라 위성 위치를 지상 200㎞까지 낮춰 대기권에서 타버리도록 하는 폐기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리랑 1호는 지난 99년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반덴버그공군기지에서 발사된 이후 지금까지 지상 685㎞ 상공에서 동서 15㎞ 폭을 남북방향으로 2만9500회 이상 선회하며 독도 및 산불 모습을 비롯한 모두 13만1200장의 사진을 촬영, 전송했다.

 항우연 김은규 지상수신관제그룹장은 “해외의 경우 통상 연한에 1∼2년 정도 더 연장, 운영하는 것이 고작”이라며 “아리랑 1호의 경우 국내 위성 설계기술의 우수성을 그대로 대변한다”고 설명했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