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9년 국내 최초로 발사된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의 수명은 언제 다할까.
30일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예상 수명연한인 2002년을 2년 이상 넘겼지만 현재까지의 추진체 연료소모 상태로 봐서는 적어도 오는 2009년까지는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애초 계획보다 7년 가까이 수명 연장이 가능한 이유는 뭘까.
이에 대해 항우연 우주응용센터측은 △아리랑 1호에 탑재돼 있는 위성연료추진체 연료(하이드로진) 사용의 최소화 △위성 운전의 노하우 축적 △위성 설계시 최악의 조건을 감안한 견고한 설계 등을 꼽고 있다.
실제 아리랑 1호는 3∼4개월에 한번 꼴로 우주공간에서 위성이 정상 궤도를 이탈할 경우에만 추진 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65% 이상의 연료가 남아있다.
이대로라면 적어도 발사 10년째를 맞는 오는 2009년까지는 그런 대로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는 조심스런 관측이다.
우주응용센터 안상일 연구원은 “기본 구조가 워낙 잘 설계돼 향후 2∼4년은 거뜬할 것으로 예측한다”며 “연료가 고갈돼 가는 상태에 따라 위성 위치를 지상 200㎞까지 낮춰 대기권에서 타버리도록 하는 폐기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리랑 1호는 지난 99년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반덴버그공군기지에서 발사된 이후 지금까지 지상 685㎞ 상공에서 동서 15㎞ 폭을 남북방향으로 2만9500회 이상 선회하며 독도 및 산불 모습을 비롯한 모두 13만1200장의 사진을 촬영, 전송했다.
항우연 김은규 지상수신관제그룹장은 “해외의 경우 통상 연한에 1∼2년 정도 더 연장, 운영하는 것이 고작”이라며 “아리랑 1호의 경우 국내 위성 설계기술의 우수성을 그대로 대변한다”고 설명했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과학 많이 본 뉴스
-
1
루닛 “AI 활용하면 응급환자 분류 시간 77% 감소”
-
2
KAIST, '호버 바이크' 핵심 기술 개발…접근 어려운 지역 구조 등 활용 기대
-
3
새해 대형병원 차세대 사업 막 올라…수주전 후끈
-
4
성남산업진흥원, 산업안전·준법경영 강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
5
분당서울대병원, 경기도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현장 점검
-
6
전국 나노인프라 공정서비스 역량고도화 역점…기업 '기술경쟁력' 확보 돕기 위해 달린다
-
7
[IITP 리뷰 원] 혁신적인 기술이 바꿀 미래 세상 '양자컴퓨팅'
-
8
웹케시글로벌·비에스지원, 베트남 DX시장 협력...현지 기업 데이터 통합 솔루션 제공
-
9
코어라인소프트, 올해 '에이뷰' 활용 연구 출판물 296건
-
10
엠씨넥스, CES서 차세대 모바일과 차량용 혁신 기술 공개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