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기술 사업화 왜 미진한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가연구개발사업 결과가 잘 활용되지 않는 이유

국가연구개발성과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활용을 염두에 둔 ‘전주기적 성과중심 연구관리체계’ 구축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미활용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방법으로 사업화자금 지원 필요성을 주장한 이공계종사자들의 수가 가장 많았다.

 6일 과학기술부는 최근 실시한 ‘국가R&D성과활용 관련 설문조사’결과 대다수 이공계 종사자들이 국가연구개발성과의 활용이 미진한 가장 큰 이유로 ‘성과활용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연구수행 방식’을 꼽았다고 밝혔다.

 총 1018명의 설문응답자 구성은 대학(41.4%), 출연연(39.6%), 민간 기업(12.7%), 연구소(6.3%), 기타 이공계관련 종사자(6.3%) 등의 순이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국가R&D사업 성과가 활용되지 않는 이유로 △성과활용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연구수행(43.7%) 외에 △성과활용에 대한 보상부재(21.3%) △기술거래시장의 비활성화(16.9%) △성과물의 축적과 관리 미흡(13.1%) △기술과 시장환경 등의 변화(5.0%) 등을 꼽았다.

 이에따른 미활용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사업화에 필요한 소요자금 지원’을 주장한 응답자가 47.1%로 가장 많았다. ‘사업화 관련 전문인력 양성’(23.2%), ‘데이타베이스 등 관련 정보망 구축’(22.8%), ‘전시회/설명회 개최 등 홍보지원(6.9%)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성과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부지원 방식으로는 응답자의 과반수에 못미치는 41.2%가 ‘실제로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나 연구기관 중심의 지원방식’이라고 대답했으며 ‘기술수요자인 기업 중심’(23.4%)과 ‘성과관리를 전담하는 기관 설립’(22.3%), ‘부처별 연구관리전문기관 중심’(13.1%) 순으로 나타났다.

 과기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법 제정을 추진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안’에 근거한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 수립에 활용할 예정이다.

 조윤아기자@전자신문, forang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