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트다운 `포스트PC 시대`](4)마스터플랜 시급

 시장조사기관 가트너 그룹은 2007년 미국·유럽을 기준으로 차세대PC를 하루 6시간 이상 휴대하거나 착용하는 사용자의 비중이 전체 인구의 60%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2010년께에는 차세대PC 사용 인구가 전체의 75%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쯤 되면 차세대PC가 지금의 휴대폰처럼 ‘생활 필수품’으로 여겨질 것이란 분석이다.

 시장도 초기에는 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이동 컴퓨터를 필요로 하는 물류·제조·군사·의료 등 산업용을 중심으로 형성되지만 플랫폼 고성능화, 소형 디스플레이, 음성인식 기술 등 기술 개발에 힘입어 소비자 시장으로 급속하게 확산될 것으로 낙관했다.

 이에 대비해 이미 미국·일본·유럽연합(EU)은 국가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고 기술·사회적 기반 확보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조기 응용 개발에 중점을 두고 국방·의료·산업·가정 그리고 사무실 전반에 적용할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미국은 주로 일상 생활 공간과 컴퓨터 간의 자연스런 통합이 가능한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HCI) 기술과 표준개발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일본도 정부 주도로 2001년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연구회를 발족하고 종합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일본은 초소형 칩 네트워크 프로젝트, 무엇이든 마이(My) 단말 프로젝트, 어디서든 네트워크 프로젝트 등 크게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차세대PC 청사진을 완성한 상황이다.

 EU 역시 ‘사라지는 컴퓨팅 계획’을 중심으로 16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유럽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일상용품에 센서·프로세서 등 기본PC 기능을 탑재해 정보 처리와 교환 기능이 가능한 ‘정보 인공물’을 목표로 미래 정보화 사회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3년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협회·전자통신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차세대PC 기본전략을 수립했다. 이 전략에 따르면 ‘차세대PC 3대 강국’이라는 비전 아래 오는 2007년 차세대PC 시장에서 점유율을 10% 대로 올리고 세계 수준의 연구소 1개, 매출 500억원 이상 회사 2개, 세계적인 제품 3개를 육성할 계획이다. 기술 개발 측면에서는 플랫폼·인터페이스·초단거리 무선통신·입출력장치·오감정보처리 등을 5대 핵심 분야로 정하고, 기반기술 개발전략을 수립중이다. 전자 비서·액세서리형 컴퓨터·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이오닉스 소자·웨어러블 퍼스널 스테이션 등 구체적인 응용 모델과 관련해서도 기본 계획은 서 있는 상태다.

 하지만 이는 정부 주도의 기본 구상일 뿐, 이를 뒷받침할 세부 실행 계획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특히 미래 기업 경쟁력을 위한 산업기반 조성과 산업계 주도의 차세대PC 분야 선점을 위한 방안 등은 여전히 ‘구상과 검토’ 수준에서 논의되는 실정이다.

 그나마 최근 ‘차세대PC 산업협회’가 발족해 분위기 조성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도 시장의 주체인 산업계의 움직임은 미온적이다. 기본 비전과 목표 수립에 이어 연구기관·산업계가 모두 참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실질적인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강병준기자@전자신문, bjkang@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