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문화부 변화의 방향은

최근 들어 문화부가 여러 가지 면에서 달라지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게임산업과 관련해 라이벌 관계에 있던 정보통신부와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가 하면 과학기술부와도 업무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문화산업 확산에 발 벗고 나서는 모습이다.

이처럼 겉으로 드러난 모습만 보아서는 문화부가 상당히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문화산업을 육성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일련의 성과들은 정동채 장관이 부임한 이후 이뤄진 것들이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두가지 다 정장관이 부임하기 이전부터 실무 차원에서 진행돼 왔던 일 들이다.

이 때문에 두가지 사례 만을 놓고 정장관이 문화산업에 다른 장관들보다 더 적극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바로 전임이었던 이창동 전 장관은 장관직을 끝내기 직전에서야 게임업계 CEO 들을 만났지만 그때는 이미 장관직을 그만둔다는 사실이 공표된 상황이었다. 예정된 행사라서 그대로 진행되긴 했지만 어색한 자리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너무 늦게 자리가 마련된 것이다.

정장관을 바라보는 문화산업인들의 기대는 그 누구보다도 컸다고 할 수 있다. 정 장관이 국회의원 시절 문화관광위에서 오랫동안 일 해 오는 등 문화산업에 대한 이해가 남다를 것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정장관의 행보는 다분히 형식적인 차원에 그치고 있는 것 같아 아쉬움을 남긴다. 그가 정치인 출신이고 또 장관직을 물러나면 곧 정치일선에 복귀할 것이기 때문에 문화산업과 게임산업에 대한 태도가 정치적 인기를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문화부는 타 부처와 달리 과거 정치인 출신 장관이 유난히 많았다. 그중에는 훌륭한 발자취를 남긴 사람도 있었고 아닌 사람도 있었다. 정 장관이 취임한 지도 벌써 10개월이 지났다. 과거 국회의원의 입장과 정책의 최고 책임자인 장관의 입장은 분명 다를 것이다. 또 달라야 한다. 국회의원일 때는 국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당의 입장에서 한 표를 행사해야 하지만 장관의 입장에서는 소신과 혜안을 갖고 정책을 수립하거나 추진해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제 겨우 10개월이 지난 정 장관에게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기대했던 것 만큼 문화산업인들의 기억에 오래도록 남을 수 있는 실무형 장관이 되어 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정치인의 입장에서 벗어나 문화산업 정책을 입안하고 실천하는 관료의 입장이 돼서 산적한 과제들을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인기에 편승한 선심성, 또는 화제성 정책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100년 앞을 내다본 진정한 문화산업 발전정책을 만드는 토대를 쌓는 장관이 되기를 바랄 뿐이다.

<김병억·취재부장 be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