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PLC육성’정책협력 기대한다

 산업자원부가 향후 5년간 5000억원을 투입, 전력선을 통신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인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관련 핵심기술 개발에 무게 중심을 둔 ‘전력IT산업’ 육성에 적극 나선다고 한다. 전기·전력 산업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만큼, IT기술과 접목될 경우 엄청난 사회적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본다. 특히 통신 인프라가 도시에 집중돼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PLC 기술은 농촌 등 일부 지역의 정보화 그림자를 말끔하게 해소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번 산자부의 ‘전력IT산업 육성’ 기본 방향은 △전력 기기 자동화·디지털화 등을 통한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 △전력선을 통한 통신기술과 관련한 서비스산업 발전에 따른 저렴한 통신망 공급 등이다. 산자부의 구상대로 추진될 경우 전력산업과 관련 기기를 공급하는 전기산업도 10조원의 매출 증대와 10만명 이상의 고용 창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부수적인 효과가 결코 만만치 않다. 뿐만 아니라 개발한 핵심 기술을 초고속망이 아직 보편화되지 못한 브릭스 국가들에 수출도 할 수 있다고 하니 투자 대비 효용가치가 높은 매력적인 사업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문제가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우선 통신망 사업의 경우 기존 통신사업과의 중복성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홈 네트워크나 신축건물 등 틈새시장을 겨냥한다고는 하지만 초고속망이 일반화돼 있는 국내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불필요한 마찰을 회피할 철저한 사전 정책 조율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PLC는 케이블TV망·전화·광통신망 등 복잡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전력선 하나에 묶을 수 있어 경제적인데다 가정의 디지털 기기를 손쉽게 네트워크화해 원격 조정까지 가능해 가정 정보화를 주도할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가 고작 24Mbps 밖에 안 되는 등 기술적인 한계와 망 자체의 간섭 현상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은 미완의 기술인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LC의 기술적 매력 때문에 미국·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산업 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공급의 효율, 안정성 제고 차원에서 수 년 전부터 PLC를 국가 주요정책으로 삼아 핵심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이들 국가에 비해 늦었지만 정보화 소외지역을 100% 해소하고 에너지 공급 효율 제고에 도움이 되는 PLC 육성에 나선 것은 여간 다행스런 일이 아니다.

 PLC사업처럼 투자 대비 효과가 높은 사업을 발굴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일은 국익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본다. PLC기술의 상용화 첫 단계인 54Mbps 수준까지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이려면 수많은 기술적 난제에 부딪혀야 할 것이다. 하지만 기술적 문제보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행정 부처 간의 정책적 이견과 불협화음이다. 벌써 일각에서는 산자부의 전력IT산업 육성책을 놓고 정통부와 경쟁하려 하는 게 아니냐는 식으로 사시를 뜨고 바라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젠 이런 구태도 사라져야 한다. 전력통신사업이 어차피 초고속망을 기반으로 한 기존 통신서비스와 중첩이 될 수밖에 없어 마찰과 혼선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하지만 이 사업이 국익과 정보화 소외지대를 100% 해소한다는 데 큰 도움을 준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좋은 아이디어가 부처 이기주의와 영역싸움으로 사장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산자부와 정통부가 국익을 우선하는 거시적인 자세로 합리적인 정책 조율에 나서 전력IT 육성이 실효를 거뒀으면 하는 게 우리의 바람이다.

브랜드 뉴스룸